728x90 반응형 PM(Product Manager)48 3 day 2024.01.06. 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 프로덕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2) 비즈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3)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 리드할 수 있는 능력 - 서비스 기획 실무를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IT 서비스 개발 업무를 협업하기 위한 도메인 지식 2)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3) 데이터를 이용해서 결과치를 뽑아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 모든 업무의 기본 1) 논리적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3-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3-1-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실패 사례 1) 카카오톡에 반격하기 위해 통신 3사에서 만든 서비스 'RCS' - 출시 배경: 카카오톡 문자 점유율 증가 è 통신 3사가 만든 채팅 .. 2024. 1. 7. 2 day 2024.01.04. 02. 서비스 기획자, PM, PO는 왜 필요한가 2-1. 인터넷 서비스의 역사와 기획자의 역할 - 기획자의 직무 1) (1990~2010년대) 닷컴 버블시대 : 웹 서비스 고도화 포털사이트 등장(네이버, 다음, 프리첼, 네이트) : 포털사이트가 발전하면서, 비즈니스와 개발팀이 발전하기 시작 : 비즈니스와 개발팀의 소통을 위해 IT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기획팀'이 필요한 상황 2) (2009년 11월 28일) 다양한 IT 스타트업의 등장 : 첫 스마트폰 애플 '아이폰' 출시 후, 삼성 '갤럭시' 출시 및 활성화 : 글로벌 야후, 구글, 애플에서 'PM' 업종 섭렵 : 네이버/다음(카페) / 중고나라, 번개장터(중고거래) / 화해, 언니의 파우치(세분화) 3) (2020년대) 유니콘 스타트업 '야놀자'.. 2024. 1. 4. 1 day 2024.01.03. 01. 서비스 기획 첫걸음 1-1. 서비스 기획이란 무엇인가? - 기획(product):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기 위한 과정을 설계하는 것 - 서비스 기획: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 발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설계하는 것(제품 or 서비스) - 전략: 리서치 및 벤치마킹으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니즈 해결을 위한 콘셉트 도출 - 사업: 수익성 창출(비즈니스 모델 설계) - 기획: 콘셉트를 제품화,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 - 디자인: 설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의, 사용성에 맞춰서 디자인 시안을 만들어주는 역할 - 개발: 설계도에 맞게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공정 -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 Pre Production: 설계하는 과정(설계도 생성) - Production: 설계를 바.. 2024. 1. 4. Q10. 예비 PM의 첫 번째 회고 DAY Q1.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Q1.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프로덕트 매니저란 잠재적인 고객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그러한 문제에 대한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내어 제시하는 사람이다. 그들은 제품의 전체적인 사항들을 관리하며, yoonhs98.tistory.com Q2. PM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키워야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Q2. PM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키워야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1) 내가 가지고 있는 역량 - 빠른 대처 능력: 프로젝트의 특성상 예상치 못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비서로 일하며 다양한 문제 상황에 직 yoonhs98.. 2023. 12. 28.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