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M(Product Manager)/학습일지 4주차6 6 day 2024.01.28. 12.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3) 16. 기회자가 UX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1. 사용자 이해 : 사용자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자 이해 & 분석 - 사용자 분석을 통한 경험 개선: 사용자의 행동 패턴, 선호도, 필요성 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선 - 고객 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개선: 고객들의 의견이나 제안을 통해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 -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우선순위 선정: 사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어떤 서비스가 중요한지, 또는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이에 따라 우선 순위를 선정 - 빠른 고객 접근 및 비즈니스 아이디어 창출: 사용자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2024. 1. 28. 5 day 2024.01.24. 12.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2) 9. UX 기획을 위한 컨셉 메이킹 1. UX 기획을 위한 컨셉 메이킹 - UX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에 대한 컨셉을 아이데이션 2. 컨셉 메이킹 방법론 - 아이디어와 기획의 시각화: 머리 속의 생각들을 구체화시키는 기초 작업 Ex) '넷플릭스' OTT 서비스가 완전히 만들어지기 전, 어떻게 기획하면 좋을 지 기획 (완전 초기 단계) - 시각화의 초기 단계: 서비스와 기능의 구조를 그려내는 방법 Ex) 머리 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조금 더 시각화 → 사전에 (서비스 기획 수업은 어디가 좋은지? 금액은? 등) 고려사항 → 자사 서비스를 실현화 하는 것 3. UX 전략과 기획전략 - UX 전략: 실제 서비스를 만들기 전, [Context]와 [Needs]에 .. 2024. 1. 24. 4 day 2024.01.24. 12.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1. UI/UX 개념 이해하기 - UI: 화면에 직관적으로 보이는 인터페이스 (로고, 배너(이벤트), 메인카피 등) - UX: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낀 감정과 생각 (불편함&편리함, 다시 이용했을 때의 용이함) 1. UI(User Interface) - 사용자와 정보기기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 - 보편적이고 직관적인 요소들로 구성 - UI 요소에 대한 이해 (HTML기술, 디스플레이 화면, 키보드, 아이콘, 검색창, 색상, 폰트 등) 2. UX(User Experience) - UI를 이용하는 모든 경험을 포함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편리함과 불편함에 대한 고민 필요 -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 3. UI의 주요 요.. 2024. 1. 24. 3 day 2024.01.23. 11. 개발자와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방법 1. 오늘의집 프로덕트 팀 구성 소개 1. 프로덕트 팀의 구조 - Tribe(트라이드): 가장 큰 조직 단위로, 여러 개의 Squad(스쿼드)로 구성 - Squad(스쿼드): 하나의 프로덕트를 완결할 수 있는 모든 담당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는 PO(팀장), PM,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포함 - Chapter(챕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Squad의 구성원들 2. 프로덕트 팀의 조직도 - 비즈니스 조직: 영업팀, 운영팀, MD팀 등이 포함 - 프로덕트 조직: 다양한 Squad가 모여 이루어진 조직. 이에는 PDG(Product Design Group)와 개발팀이 포함 3. 프로덕트 팀의 특징 - Cross Functional Product T.. 2024. 1. 24.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