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서비스 기획 첫걸음
1-1. 서비스 기획이란 무엇인가?
- 기획(product):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기 위한 과정을 설계하는 것
- 서비스 기획: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 발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설계하는 것(제품 or 서비스)
- 전략: 리서치 및 벤치마킹으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니즈 해결을 위한 콘셉트 도출
- 사업: 수익성 창출(비즈니스 모델 설계)
- 기획: 콘셉트를 제품화,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
- 디자인: 설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의, 사용성에 맞춰서 디자인 시안을 만들어주는 역할
- 개발: 설계도에 맞게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공정
-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 Pre Production: 설계하는 과정(설계도 생성)
- Production: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제작하는 과정
- Released: 제품을 출시하는 과정
1-2. Pre-Production
-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하는 단계
- 제품 기획서: 왜 만들어야하는지, 왜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설계하기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그것들은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지, 최종 산출물의 모습은 어떤지 등
- 프로덕션 팀들과 협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필요한 자료를 만드는 과정 -> Pre-Production 단계
1) 리서치
1-1) 내부 리서치: 주로 내부 데이터 활용 리서치
- 로그 데이터(사용성 데이터): 기록을 통해 데이터 추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내부 데이터를 통해 리서치
- A/B 테스트: 두가지 옵션을 주고, A와 B 옵션 중 의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을 검증
- VOC(Voice Of Customers): 고객이 직접 불만등을 표출한 것
1-2) 외부 리서치: 사용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외부 수집 가능한 정량적, 정성적인 모든 데이터
- 사용자 서베이: 사용자 설문조사
- FGI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서비스, 제품에 타깃이 되는 사용자 그룹 인터뷰(타깃팅 정교화 가능)
- 벤치마킹: 좋은 성과의 타사 제품, 서비스를 검토 및 벤치마킹
2) 타당성 검토 (왜?가 중요)
- 실현 가능성: 실현이 가능한가(논리)
- 타당성: 제품,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납득이 가야만 함)
3) 사업성 검토 (사업팀과 논의)
- 사용자 VOC 분석,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검토: 고객의 목소리를 듣자는 의도
- 사내 타 서비스와 카니발리제이션 여부 검토: 기존 기능, 제품등의 손해를 끼치지 않는가 확인
- 내부 자산 활용 방안 검토: 다양한 내부 자산(기능, 디자인, 컴포턴트, API등) 활용을 통해 개발 기간 단축, 더 효율성이 좋은 서비스 생산 및 검토
- 서비스 패키징 가능여부 검토: 기능개발에 많이 사용, 기존 기능과 패키징하여 판매 여부를 검토 하는 단계(B2B서비스에서 많이 사용)
4) IA(Information Architecting) 설계
:협업 부서들이 IA를 보고 서비스의 전체적인 큰 그림을 파악 가능하게 하는 설계도, depth를 나누어 전체적인 큰 그림으로 서비스 파악 가능
5) 개발이슈 검토
- 스펙 초안 리뷰: 구현 가능성, 적합성 중요
- 기능 구현 가능여부 확인: 실현 가능 여부 파악, 가장 중요한 포인트
- 구현방향 논의: 어떤 식으로, 플랫폼, 언어를 사용해서 구현할지 논의
- 추가 검토 필요사항 전달: 추가로 구현할 기능 적합성 여부 파악
- 리소스 할당: 개발 이슈 검토 è 개발의 범주 확인 è 일정 파악 è 일정을 지키는데 필요한 인원, 리소스 파악 및 산정 è 담당자 배정
6) 화면설계 (=기획서)
1-3. Production
- 실제 구현 단계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단계)
- 디자인팀, 퍼블리싱팀, 개발팀 production팀과의 협업 중요
1) 기획서 리뷰 및 리소스 할당
- 스펙 상세 리뷰
- 기능 구현 가능여부 검토요청: 상세 기획서를 기반으로 디테일한 기능 구현 가능 여부 검토
- 담당자 지정 요청
- 기능 구현에 대한 의견 청취
- 일정 산정
2) 디자인 요청
- 디자인 컴포넌트 확정: 디자인 요소(폰트, 색상, 크기)
- 디자인 시안 검토: 디자인 피드백
- 디자인 가이드라인 공유: 간격을 수치화
- 인터랙션 재검토: 시안 è 피드백, 검토 è 가이드라인 è 구현
3) 퍼블리싱 요청
- UI/UX 요소 구현
- 테스트페이지 요청
- 디자인 반영내역 검토
- 반응 웹 반영 검토
4) 개발 요청
- FE-BE 간 커뮤니케이션
- 테스트 단계 수립
- 개발 일정 조율
- 변경내역 검토 및 조율
5) QA (Quality Assurance, 품질 보증)
- TC(Test Case) 제작
- 잔존결함 발견 및 수정요청
- 릴리즈 일정 조율
6) 릴리즈
- 사전공지
- 약관 검토
- 앱 심사 요청
- 릴리즈 대기
- 회고
1-4. 서비스 기획 방법론_ 애자일, 워터폴, 린의 차이
1) 워터폴 방법론
2) 애자일 방법론
1-5. 기본용어
- FE(Front-End): 사용자에게 클라이언트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인풋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영역
- BE(Back-End): DB를 저장하고 관리,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내려주는 역할
- 리서치
- 벤치마킹: 경쟁사나 특정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는 상대를 표적으로 현황 및 성과 차이를 비교, 분석
- FGI: Focus Group Interview, 정성조사의 한가지 방법으로 조사 진행자가 소수의 조사 대상자들을 한 장소에 모아 인터뷰 진행
- 로그: 서비스 내에 발생하는 모든 동작, 이벤트에 따른 정보를 시간에 따라 남기는 데이터
- 대시보드: 서비스 내 혹은 서비스간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게 해 주는 여러 뷰의 모음
- 데이터 트래킹: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양한 툴을 활용하여 추출하는 업무
- 페르소나: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만한 목표 연구 집단 안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 프로젝트 관리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
- 로드맵: 구체적인 이행 목표를 세운 뒤 목표달성을 위해 작성된 가이드라인
- 마일스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할 만한 건이나 표를 뜻하며 주로 진행상황 체크를 위해 설정
- 리소스: 프로젝트 달성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뜻하며 주로 프로젝트 참여 인원의 참여 가능범위를 지칭하는 용도
- 리뷰: 완성된 기획서 등의 문서를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공유하는 자리
- 회고: 프로젝트가 마무리된 이후 참여인원들과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
- 서비스 기획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주로 서비스 전체 아웃라인을 조망하기 위하여 사용
- 와이어프레임: 서비스의 레이아웃을 구상하는 초안단계에서 주로 서비스 플로우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작성하는 화면
- 상세기획서: 스토리보드를 중심으로 페이지 구성과 기능, 정책 등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담은 최종 산출물인 기획서
- 플로우차트: 특정 기능 혹은 서비스 플로우의 흐름을 특정한 순서도 기호를 사용하여 도식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
- 어드민: 서비스 운영을 위한 관리자 페이지이며 운영에 필요한 권한관리, 통계 등의 기능에 제공되는 페이지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1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day 2024.01.07. (4) | 2024.01.07 |
---|---|
3 day 2024.01.06. (0) | 2024.01.07 |
2 day 2024.01.04. (0)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