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M(Product Manager)/학습일지 1주차4

4 day 2024.01.07. 04.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4-1. 사업 초기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1) 회사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 1-1) 에이전시, SI - 업무: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IT제품을 제작하고 납품하는 것 - 목표: 지정된 시간에 요청한 스펙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 - 에이전시: 웹 or 앱 제작 요청 시, 외주 및 수주를 받아서 전문적으로 만드는 회사 (광고 에이전시, 컨설트 에이전시 / 무언갈 만드는 곳) - SI(System Intergration):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IT 관련된 수많은 요소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및 운영하는 회사 (금융, 은행 등 계열사의 전산 외주업무 담당 / 시스템 통합 및 구축, 유지보수 하는 곳) 1-2) PMF를 찾는 중인 회사 - 업무: .. 2024. 1. 7.
3 day 2024.01.06. 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 프로덕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2) 비즈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3)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 리드할 수 있는 능력 - 서비스 기획 실무를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IT 서비스 개발 업무를 협업하기 위한 도메인 지식 2)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3) 데이터를 이용해서 결과치를 뽑아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 모든 업무의 기본 1) 논리적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3-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3-1-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실패 사례 1) 카카오톡에 반격하기 위해 통신 3사에서 만든 서비스 'RCS' - 출시 배경: 카카오톡 문자 점유율 증가 è 통신 3사가 만든 채팅 .. 2024. 1. 7.
2 day 2024.01.04. 02. 서비스 기획자, PM, PO는 왜 필요한가 2-1. 인터넷 서비스의 역사와 기획자의 역할 - 기획자의 직무 1) (1990~2010년대) 닷컴 버블시대 : 웹 서비스 고도화 포털사이트 등장(네이버, 다음, 프리첼, 네이트) : 포털사이트가 발전하면서, 비즈니스와 개발팀이 발전하기 시작 : 비즈니스와 개발팀의 소통을 위해 IT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기획팀'이 필요한 상황 2) (2009년 11월 28일) 다양한 IT 스타트업의 등장 : 첫 스마트폰 애플 '아이폰' 출시 후, 삼성 '갤럭시' 출시 및 활성화 : 글로벌 야후, 구글, 애플에서 'PM' 업종 섭렵 : 네이버/다음(카페) / 중고나라, 번개장터(중고거래) / 화해, 언니의 파우치(세분화) 3) (2020년대) 유니콘 스타트업 '야놀자'.. 2024. 1. 4.
1 day 2024.01.03. 01. 서비스 기획 첫걸음 1-1. 서비스 기획이란 무엇인가? - 기획(product):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기 위한 과정을 설계하는 것 - 서비스 기획: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 발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설계하는 것(제품 or 서비스) - 전략: 리서치 및 벤치마킹으로 사용자의 니즈 파악 -> 니즈 해결을 위한 콘셉트 도출 - 사업: 수익성 창출(비즈니스 모델 설계) - 기획: 콘셉트를 제품화,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 - 디자인: 설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의, 사용성에 맞춰서 디자인 시안을 만들어주는 역할 - 개발: 설계도에 맞게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공정 -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 Pre Production: 설계하는 과정(설계도 생성) - Production: 설계를 바.. 2024. 1.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