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day 2024.01.13. (2)
07. 프로젝트 관리 방법 4.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중심에는 기획자가 위치하며, 내부와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추진. (내부 Comm - 수직) 상위매니저 / (내부 Comm. - 수평) 디자인, 개발 / 사업팀, 운영팀 (외부 Comm) 사용자, 파트너 1)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 주요 대상: 상위 의사결정권자(상위 매니저, 경영진) - 주요 문서: 상위 기획서 - 목적: 서비스 방향성 및 컨셉 결정, 서비스 성공 여부 판단, 조직간 이슈 보고 - 상세 항목: 1-1) 상위기획서 • 현황분석 & 동기부여: 현 시장상황 분석, 제품/서비스의 구현방향 기술 (A기능 개발 시, A에 대한 기대효과) Ex) 헤어샵 예약의 경우, 독점적 ..
2024. 1. 13.
4 day 2024.01.12.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2) 4.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1) 사용자향 서비스(B2C, Business to Customer) - 일반 사용자들이 대상 - ex) 네이버, 카카오,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 쿠팡, 유튜브, 인스타그램, 에어비앤비, 넷플릭스 등이 이에 해당. -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이 직접 사용가치를 느끼는 것이 목표. 2) 사업자향 서비스(B2B, Business to Business) - 다른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일반 사용자에게는 제공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 슬랙, 세일포스, 쇼피, DATADOG 등이 이에 해당. - 사업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의 사업 활동에 도움이 되는 ..
2024.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