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Product Manager)/학습일지 2주차

3 day 2024.01.11.

by vita12321 2024. 1. 12.
728x90
반응형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1)

1. 서비스 기획자란?

 

-      팀 플레이어 역할 (제품'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

-      PO, PM, 기획자 등 세부적인 업무는 상이, but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직업

 

1)    서비스 기획자란?

출처: zero-base Corp.

- 서비스 기획자

-      서비스 기획자 역할: 사용자의 필요성을 파악,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는 역할
이를 위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

-      협업능력 필요: 서비스 기획자는 혼자서 제품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UX, 개발팀,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부서와 협업하는 능력이 필요. 각 팀의 역할을 이해하고, 팀 간의 어려움을 해결하며 보틀넥을 제거하는 역할도 수행.

-      기획서 작성 및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획자는 자신의 의도와 제품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이 필요.

-      다양한 역량 필요: 디자인(UX), 기술(Tech), 사업(Business)의 역량을 갖춰야 한다.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설계와 제품의 스펙, 그리고 사용자와 사업자 모두를 고려한 사업적인 역량이 필요.

 

2)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업무

출처: zero-base Corp.

 - 4가지 단계 전반적인 이해 필요.

- 어떤 도메인, 시장, 제품에 자신이 관심있는지 먼저 확립하는 것이 중요.

2-1)        서비스 기획 (Pre-Production 레벨에서 하는 업무, 가장 중요):
제품이 개발 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
-
설계도(시장 리서치, 정보구조(IA) 설계, 화면 설계 등)에 집중하며, 제품이 실현 가능한지 확인.
-
검증과 검토 단계

 

2-2)        기술 기획:
서비스 출시를 위해 적용할 기술을 검증하고 적용 범위를 검토.
-
기술이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가 필요, 스펙 정의, 기술 리뷰 및 회고, QA 등을 수행.(커뮤니케이션 비용 비약적 감소)

 

2-3)        운영 기획: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장애 대응, CS응대 등의 지원 업무를 수행.
-
주니어 레벨의 기획자가 시장 상황, 서비스 범주, 스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이 업무를 담당.

 

2-4)        데이터 기획: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위해 로그 설계, 운영, 데이터 추출 및 분석을 진행.
-
데이터가 시장, 제품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판단, 분석 업무가 중요.(데이터 추출보단 분석하는 역량이 중요)
-
데이터의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역할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도메인 지식이 필요.

 

3) 조직 성격별 서비스 기획자 역할

3-1) 제품 개발: (내부 프로덕션팀에서 고객의 니즈 상품 개발  VOC 확인)

-      가장 일반적인 형태

-      외부 사용자의 니즈를 정제하여 제품 방향성을 설정: 이를 위해 고객의 니즈를 데이터를 통해 추출하거나 운영팀을 통해 직접 VOC를 확인.
기술, 운영, 데이터 기획 등 모든 업무를 인하우스에서 진행.

-      비즈니스관련 팀과 논의를 통해 피처리스트정리

 

3-2) 내부 제품 개발: (Customer(제품사용자)가 이미 인하우스에 있는 형태)

-      내부제품(ex.인하우스 대시보드) 개발

-      사용자가 내부에 있어 니즈 파악이 용이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낮은 형태: 인하우스 직원들이 사용 사용성,디자인 덜 고려커뮤니케이션 비용 감소

 

3-3) 외부제품개발: (외주를 통해서 제품을 개발)
-   
내부에 개발팀이 없거나 외주를 통한 개발팀을 운영하는 형태 (개발팀 미보유, 개발은 외주사용)

-      내부에서 피처리스트 정리하여 외부개발조직에게 전달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높은 형태(외주기에 비용 최고가)

 

 

2. 서비스 컵셉과 방향성 도출하기

 

- 서비스 컨셉: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주된 생각

1) 서비스 컨셉의 중요성

- 문자,슬로건적으로 WHY에 대한 답변

          - 서비스 컨셉: 서비스를 이해하고, 사용하려는 사용자나 팀 내의 다른 멤버들에게 서비스의 특징과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역할.

          - 컨셉이 명확하면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서비스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준다.

           -  서비스, 제품을 왜 해야 하나요? 시장에 대한 상황에 적합성 파악시장 상황에 맞는 서비스 컨셉 도출 논리를 통해 개발자, 디자이너, 사업팀 등을 설득해야 함

 

2) 좋은 컨셉과 나쁜 컨셉

- 컨셉이 한 귀에 들어오냐 안 들어오냐

- 내부 팀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컨셉이 명확하면 서비스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팀원들의 동기부여를 유발

- 좋은 컨셉을 도출 = 좋은 기획자

 

3)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출처: zero-base Corp.

- 아래부터 적용시 좋은 서비스 컨셉트 기획 가능

 

   3-1) 문제의식 발굴: 사용자의 니즈와 내부 팀의 니즈를 파악.

-시장 트렌드

-서비스 모니터링

-개인의 경험

등을 통해 니즈를 파악합니다.

 

   3-2) 문제의식 검증: 문제의식이 실제로 문제로 인식되는지 검증.

-      데이터 추출 및 분석: (정량적 지표) 실질적으로 사용성 측면에서 문제 의식 발굴
(
이탈률, 부정적인 지표 확인)

-      리서치: (정성적 지표) 즉각적인 사용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정말 문제인지 인지 판별

-      벤치마킹: 경쟁사, 자신이 몸담고 있는 도메인에서 잘하고 있는 부분은 적용,  못하고 있는 부분은 개선 (문제의식부터 잘못된 부분인지 캐치)

 

3-3) 개선사항 도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
-
해결방안이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 production 단계 검증

 

   3-4) 서비스 컨셉 설정: 문제의식과 해결 방안을 토대로 서비스의 주된 생각이나 가치를 정의.

-      문제 발굴 문제 검증 문제 판별 해결책

-      서비스 설계의 가설을 설정하는 단계

-      서비스의 제공 가치를 정의하는 단계

 

3-5) 성공사례. Airbnb

-      문제의식: 샌프란시스코의 디자인 콘퍼런스 때문에 숙소 만실 (숙소 부족 인지)

-      문제검증: 에어베드 2개를 두고, 이베이 같은 곳이 숙소와 아침식사 제공의 공고

-      결과: 다수의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      개선사항: 문제의식 검증 후, 여러가지 집의 형태 확대

-      서비스 컨셉: 세계 전지역 언제 어디서나 좋은 숙소를슬로건과 컨셉 제공

 

4) 서비스 컨셉 설정 고려사항

   - AARRR 프레임워크: 서비스 개선 단계별 확인 지표설정하고 가설 검증을 진행 (서비스 컨셉 도출 단계에서 확인 가능)

4-1) AARRR 프레임워크 각 단계별 고려사항

- Acquisition(사용자 유치): 사용자 유치를 위한 가설을 설정
(
측정지표(KPI) 검증 = 트래픽, DAU, MAU)

   - Activation(사용자 활성화): 이미 서비스가 출시되었을 때, CAC, CPC, 이탈률 등을 KPI로 설정하고 기능 추가/수정을 진행.
(
측정지표(KPI) 추가/수정 = CAC, CPC, 이탈률(부정적인 지표를 확인하여 개선), 사용자 유치)

   - Retention(사용자 유지): 서비스의 재사용율을 높이기 위해, 재방문 수와 재방문률 등을 KPI로 설정. (KPI: 재방문 수, 재방문)

   - Referral(사용자 추천): 사용자 추천을 통해 공유수, 초대코드 등을 KPI로 설정하여 바이럴 마케팅을 진행. (KPI: 공유 수, 초대코드(추천인, 수신인 베네핏))

   - Revenue(수익): 최종 목표는 케이스마다 다르므로, DAU, 매출, 이탈률, 사용자 피로도 등 케이스에 맞는 KPI를 설정. (KPI: 케이스마다 상이(DAU, 매출, 이탈률, 사용자 피로도 등))

 

 

3. 목적 중심 조직, 기능 중심 조직에서의 기획자의 역할

 

1)    기능조직(Component Team)과 목적조직(Feautre Team)

출처: zero-base Corp.

   - 기능조직: 동일한 직군의 인력으로 조직을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리소스가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
동일한 직군의 인력으로 구성된 조직으로, 각 팀의 역량에 따라 아이템이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 기획자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되며, 전문성이 뛰어나다.

   - 목적조직: 다양한 직군의 인력(기획,개발,디자인,사업…)을 하나의 목적 아래에 조직을 구성하여 업무를 진행
다양한 직군의 인력을 하나의 목적 아래에 모아 업무를 진행. 서비스의 전 과정을 함께하며, 프로젝트에 따라 특정 기능이 부각되지 않는다.

 

- 양자택일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직 구조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빠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TF팀과 같이 기획, 디자인, 개발이 한 팀에 모여 작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1)    기능조직과 목적조직의 비교

 

  기능조직(Component Team) 목적조직(Feautre Team)
조직 운용 방향 가능한 많은 업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최적화 가능한 많은 고객 가치를 전달하도록 최적하
업무 진행 방식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병렬적 진행 한가지 프로젝트만 진행
조직 규모 조직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며, 지속 성장하는 경향 조직규모를 유지하는 경향
조직간 의존성 팀 간의 의존성이 추가 계획 수립으로 이어짐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팀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함
전문성 한 가지의 직군의 조직원으로만 구성 다양한 직군의 조직원으로 필요에 따라 구성
조직 운용 방식 워터폴 선호 애자일 선호
실행 난이도 상대적으로 쉬워 보임 상대적으로 어려워 보임

 

 

 

출처: zero-base Corp.

 

1)    기능조직(Component Team)에서의 서비스 기획자 역할

- production 단계로 커뮤니케이션 비용 더 발생

- 주로 운영중인 제품에 대한 기능개선이 필요한 경우 배치됨

: 초기제품 보다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는 서비스에 대해 기능 개선, 서비스 운영

- 기획자는 각 기능을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로 할당 받음 (서비스의 여러가지 기능 중에 한-두가지만 기획자 담당)

: Ex) 인스타그램 - 다양한 기능 중 릴스, 포스팅, 검색, 팔로워 등 서비스에서 일부 2,3개 할당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은 정해져있는 케이스가 많음

2)    목적조직(Feautre Team)에서의 서비스 기획자 역할

- 신규 프로젝트 or TF형태에서 많이 보이는 형태

- 기획자는 하나의 제품단위로 프로젝트를 할당 받음 (기획자의 역량)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 설정 필요

- 제품내 각 기능간의 상호관계를 고려 필요 (리소스,시간 조율 없이, 프로젝트 담당자로 이행 가능)

- 각 인원은 하나의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케이스가 많음

n   모르는 단어

-      보틀넥: 시스템의 성능을 제한하는 요소 (비즈니스: 생산 과정에서 한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느려 전체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경우, 그 느린 부분)

-      DAU(Daily Active User): 일간 활성 사용자 수

-      WAU(Weekly Active User): 주간 활성 사용자 수

-      MAU(Monthly Active User): 월간 활성 사용자 수

-      CPC(cost per click): 사용자가 1번 클릭하는데 드는 비용

728x90
반응형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day 2024.01.13. (2)  (1) 2024.01.13
5 day 2024.01.13.  (1) 2024.01.13
4 day 2024.01.12.  (1) 2024.01.12
2 day 2024.01.10.  (1) 2024.01.10
1 day 2024.01.09.  (3)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