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프로젝트 관리 방법
4.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중심에는 기획자가 위치하며, 내부와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추진.
(내부 Comm - 수직) 상위매니저 / (내부 Comm. - 수평) 디자인, 개발 / 사업팀, 운영팀
(외부 Comm) 사용자, 파트너
1)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 주요 대상: 상위 의사결정권자(상위 매니저, 경영진)
- 주요 문서: 상위 기획서
- 목적: 서비스 방향성 및 컨셉 결정, 서비스 성공 여부 판단, 조직간 이슈 보고
- 상세 항목:
1-1) 상위기획서
• 현황분석 & 동기부여: 현 시장상황 분석, 제품/서비스의 구현방향 기술 (A기능 개발 시, A에 대한 기대효과) Ex) 헤어샵 예약의 경우, 독점적 경쟁자가 없으며 예약관련 프로세스를 편리하게
• 목표: KPI를 기준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목표기술 (정량적&정성적인 지표 제시)
Ex) 사용성에 기반한 알림메시지를 통한 소비향 리마인드 제공
Ex) (정성적인) 퀄리티 좋은 서비스로 좋은 리뷰 / (정량적) 미용실의 알림메시지로 CTR, 방문율 상향
• 유저시나리오: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해당유저의 사용동선 기술
Ex) 20대 남성의 미용실 패턴 인지(한달에 1번) → 지난 이용으로부터 n달이 지나면 알림메시지를 수신하여 재예약 유도
1-2) 서비스 구현 방향 변경: 서비스 구현 방향성에 대한 이슈나 구현의 적합성으로 변경이 필요할 때
1-3) 조직간 이슈보고: 실무자 레벨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조직간의 이슈 보고
2)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 주요 대상: 실무자(디자인팀, 개발팀, 사업팀, 운영팀)
- 주요 문서: 상세 기획서
- 목적: 서비스 구현 내역 공유, 프로젝트 관련 이슈 발견, 제품 출시 및 성과 측정
- 상세 항목:
2-1) 상세기획서:
• IA: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 or 제품의 전체설계도 (큰 설계도)
• 와이어프레임설계: 서비스 및 제품의 사용자 동선을 고려한 UX 시안정의 (디자인보다는 날것)
• 스펙상세: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품의 상세스펙을 정의 (최대한 상세할 수록 좋음 / 로직, 데코 등)
2-2) 일정 관리: 간트차트를 통한 일정 관리
2-3) 사용자 요구사항 청취: 사업팀/운영팀을 통해 전달받은 사용자의 피드백 회신
3) 외부 커뮤니케이션
- 주요 대상: 고객(사용자, 파트너사)
- 주요 문서: 제품 소개서, 이용 가이드, 공지사항
- 목적: 제품 사용 방법 전달, CS 접수
- 상세 항목:
3-1) 제품 홍보 페이지:
• 제품특징: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와 타서비스의 차별성, 장점제시
• 이용가이드 제품설명 및 이용방법에 대한 가이드제시
2-2) 고객 관리:
• 고객센터 운영: 고객의 문의사항에 대한 대응가이드 작성 및 제시 (운영팀에서 진행)
• 공지사항: 신규제품 출시, 업이트시 고객에게 공지 (고객과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3-3) 리서치:
• 사용성 분석: 기존고객의 사용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개선점 도출
5.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용어정리 (디자이너)
1) Production Team 커뮤니케이션
- '기획팀'이 모든 커뮤니케이션의 브릿지 역할
- 팀/담당자/기능/업무에 대한 이해 필요
- 각 팀별 사용하는 단어의 통일화 필요
2) UX(User Experience) 요소
① 드롭다운 리스트: 화살표를 누르면 표시되는 숨겨진 항목들 (폰트 설정)
② 콤보박스: 직접 정보를 입력하거나 나열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요소 (폰트 크기)
③ 버튼 상태:
- Active: 클릭 가능한 버튼이며 아직 클린 전 상태
- Hover(=마우스오버): 마우스를 올린 경우
(예. 마우스커서를 버튼 위에 두었을 때, 글씨컬러/효과 반영)
- Click: 클릭할 때 변경되는 상태
④ 라디오 버튼: 하나의 항목만 선택 가능한 요소 (성별체크)
⑤ 체크박스: 여러 항목을 동시에 선택 가능한 요소 (약관동의)
⑥ 입력 필드: 직접 텍스트를 입력하는 영역
⑦ 토글 버튼: 여러 옵션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한 버튼
⑧ 토글 스위치: 양자 택일로 제공되는 버튼 (on/off)
⑨ 스피너: 직접 입력하거나 화살표를 눌러 값을 조정하는 요소
⑩ 슬라이더: 최소값, 최대값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며 드래그를 통해 값 조절 (음량조절)
⑪ 프로그레스 바: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요소 (로딩 바)
⑫ 툴팁: 마우스 오버 시, 해당 영역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는 요소
⑬ 노티피케이션: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정보가 있는 경우 알려주는 알림
⑭ 얼럿: 확인이나 승인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알려주는 창
⑮ 팝업: 사용자로부터 단일 선택을 요구하는 가벼운 형태의 창
5.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용어정리 (개발자)
* 개발 요소
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출입구 역할, 허용된 인원에게 접근 권한 부여
- Private API: 사내에서만 사용,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음
(Ex)사용자의 개인정보, 신규 서비스 등)
- Public API: 모두에게 공개, 제한 없이 API 호출 가능, 정보 상업적 사용시 제한 or 과금
(Ex) 디벨로퍼 사이트, 정부 Open API를 통해 정보 획득 가능 → 정보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경우, 제한 or 과금)
- Partner API: 데이터 공유에 동의하는 특정인 or 조직들만 사용, 비즈니스 파트너간 소프트웨어 통합 위해 사용
(Ex) B2B 사이드의 회사에서 사용, 회사-회사/정부-회사간 진행
2) Application
- 네이티브 앱: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맞춰 개발된 프로그램
- 웹 앱: 링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
-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와 웹 앱 형태가 혼합된 형태, 네이티브의 안정성 + 웹 앱의 유연성
3) Json(제이슨)
- HTTP 요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클라이언트와 서버단에서의 통신의 데이터 양식
4) Cookie
-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해당 데이터 저장
• 저장공간: 로컬 DB (클라이언트 로컬에 직접적으로 저장)
• 만료시간: 설정 가능 (쿠키 유효기간 언제까지 주는지)
5) Session
- 쿠키를 기반으로 하지만,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서 관리, 웹서버 접근한 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유지
• 저장공간: 서버 (서버에 직접 저장되어,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데이터를 갖고 있음)
• 만료시간: 설정 가능하나, 브라우저 종료 시 세션종료
6. 프로젝트 완료 후
1) 서비스 운영
- 고객의 서비스 사용성 파악 및 개선사항 대응
- CS 응대: 사업팀, 운영팀
- 고객 요청사항 답변
- 서비스 정책 기획
- 파트너사 관리
- 개발 관리: 개발자
- 서비스 업데이트 버전 관리
- 장애 대응, 고객 문의 확인
- 데이터 분석: 개발자
-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대시보드 기획
- 어드민 기획: 운영팀, 개발팀
- 운영팀 요청사항 반영,
- 어드민 관리
2) 어드민 기획
-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기능 추가 페이지, 권한 관리, 매출 관리, 통계 등의 기능 포함
- 고객의 사용성 파악 및 요구사항 반영, 운영팀/사업팀 요청사항 반영
3) 프로젝트 회고
-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소감 및 개선 필요사항 공유, 다음 차수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
- KPT(Keep-Problem-Try) 회고 방법론 사용: 좋았던 부분(Keep), 개선 필요한 부분(Problem), 개선을 위한 액션(Try)
- Keep: 프로젝트 진행 시에 좋았던,잘했던 부분이며 다음 차수에도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
- Problem: 프로젝트 진행 시에 잘되지 않은, 못했던 부분이며 다음 차수에도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
- Try: Problem에서 확인된 내용을 개선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액션 (다른 차수에 시도할만한 Try 쌓기)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day 2024.01.13. (1) | 2024.01.13 |
---|---|
4 day 2024.01.12. (1) | 2024.01.12 |
3 day 2024.01.11. (1) | 2024.01.12 |
2 day 2024.01.10. (1) | 2024.01.10 |
1 day 2024.01.09. (3)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