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Product Manager)/학습일지 2주차

4 day 2024.01.12.

by vita12321 2024. 1. 12.
728x90
반응형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2)

4.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1) 사용자향 서비스(B2C, Business to Customer)

   - 일반 사용자들이 대상

   - ex) 네이버, 카카오,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 쿠팡, 유튜브, 인스타그램, 에어비앤비, 넷플릭스 등이 이에 해당.

   -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이 직접 사용가치를 느끼는 것이 목표.

 

2) 사업자향 서비스(B2B, Business to Business)

   - 다른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일반 사용자에게는 제공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 슬랙, 세일포스, 쇼피, DATADOG 등이 이에 해당.

   - 사업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의 사업 활동에 도움이 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

 

3) B2B vs B2C

출처: zero-base Corp.

- B2C: (대상)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프로덕트

                  - 목적성: 고객이 사용가치를 (direct) 느끼는가?

 

- B2B: (대상) 사업자가 특정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덕트

                  - 목적성: 고객의 사업활동에 (가치를 제공하지 위해 tool 제공했을 때)어떤 도움이 되는가?

 

4) B2B2C

출처: zero-base Corp.

- 확보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사업자가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네이버, 배달의 민족 등이 이에 해당.

- 사용자들이 B2B 서비스로 입점한 다양한 사업자들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

 

 

5. B2C 서비스란

 

- B2C 소프트웨어: 개인사용자에게 특정가치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 제품

출처: zero-base Corp.

- 개인 사용자에게 특정 가치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 또는 제품.

   - 이는 커뮤니케이션, 음식, 전자상거래, 컨텐츠, 주거,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

   - 이러한 서비스는 트렌드 및 사용성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해야 한다는 특징.

   -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이용하며, 서비스의 편리성과 개선점을 인지하게 한다. 또한, OTT 서비스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

 

2. B2C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출처: zero-base Corp.

- Pay at time Pricing(과금지불형태):

이 모델은 콘텐츠 서비스에 중점을 두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과금을 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해 과금할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 장벽이 높고 안정성이 낮다.

 

   - Subscription Pricing(구독료):

콘텐츠 서비스에 중점을 두며, 굉장히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는 기업에게 안정적인 수익원이 된다. 사용 장벽이 높지만, 안정성이 높다.

 

   - Free Pricing(무료): 과금하지 않고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한다. 최대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원을 창출한다. 사용 장벽이 낮지만, 안정성이 낮다.

 

   - In-app Pay Pricing(인앱결제):

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재화를 앱 안에서 구매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자체에는 진입장벽이 없지만,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얻기 위해 과금을 지불하게 된다. 사용 장벽은 낮지만, 안정성은 높다.

 

6. B2B 서비스란

 

1) B2B(Business to Business) 서비스란

          - B2B 서비스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의미.

- 이는 사용자가 기업인 경우로, 기업의 특정 문제를 해결해주는 역할을 담당.

- B2B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기업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문제를 해결.

 

2) B2B 소프트웨어의 발전

         - B2B 소프트웨어는 한정된 환경 또는 자원에 구애받지 않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 설치형다운로드형클라우드형으로 발전.

- 컴퓨터 산업의 초기 모델 대부분은 B2B였다. 예를 들어, 애니악은 기업과 군사용도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개인용 컴퓨터로 발전하였다.

 

3) B2B 서비스의 예시

          - 컴퓨터 산업의 초기 모델은 대부분 B2B.

- Ex) 애니악(최초의 컴퓨터)는 기업과 군사용도를 위해 개발

- 이후에는 개인용 컴퓨터로 발전하여 B2C 시장에 진입.

   3-1) 마이크로소프트는 B2B 서비스 (좋은 예시).

-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라는 운영체계를 만들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에 크게 기여

-      최근에는 클라우딩 컴퓨터 서비스로 B2B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서비스는 (설치형 서비스  다운로드형 서비스  클라우드형 서비스)로 발전.

-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각각의 서비스 형태는 그 당시의 기술적 한계와 시장의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4. B2B 소프트웨어의 종류

출처: zero-base Corp.

   4-1) 플랫폼 비즈니스

- 고객아마존 / 고객아마존 풀필먼트

- B2C(Free Pricing):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대가지불 X

Ex) 고객이 어떤 니즈 발생  서비스의 충성고객(아마존에서 검색) or 새로운 고객(구글링) → 고객이 찾는 제품 구매 발생 / → 고객에게 제품 배송 및 CS

 

-      아마존 풀필먼트판매자

-      B2B: 다양한 상품군을 보유하기 위해서, '판매자'는 서비스 지원(상품등록, 제품 홍보)을 받 & 플랫폼 사용로 지불

Ex) 판매자는 사용료 지급아마존은 배송/재고관리

 

   4-2) aaS 비즈니스  (as a Service)

- aaS 비즈니스는 제3사에서 클라우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

- 사용자는 aws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이 실제로 구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제3사에게 맡기고, 이에 대한 대행료를 지불.

- 이를 통해 기업은 자신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면서도 필요한 IT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aaS의 종류와 B2B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5) aaS의 종류

출처: zero-base Corp.

     - On-site: 모든 것을 처음부터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회사를 의미한다.

 

     -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3자가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제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AWS와 마이크로소프트 'Azure'가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이다.

    

     - PaaS(Platform-as-a-Service):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Platform)과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Salesforce Heroku가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이다.

    

     - SaaS(Software-as-a-Service): 클라우드 환경에서 작동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로, 소프트웨어 설치나 업데이트는 모두 소프트웨어 제공 회사가 담당한다. Sendbird Dropbox가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이다.

 

5) 비즈니스 서포트

출처: zero-base Corp.

- 비즈니스 서포트용 B2C 서비스는 사업자가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사용자에게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것.

- 사업자가 다양한 서비스, 피처, 솔루션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고, 이에 대한 사용료를 받는 형태.

  

   - Ex) A Corp은 자신들이 구축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는 자체적으로 진행하며, 부가적인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고 소비자에게 제공.

-이러한 부가적인 서비스로는 네이버페이(결제, 계산서 등), 마이크로소프트(문서 작업 툴), 어도비(포토샵, 일러스트) 등이 있다.

- 이렇게 B2C서비스는 사용자 트래픽을 바탕으로 광고 등의 마케팅을 진행하는 효과도 있다.

 

 

7. 사용자향 서비스의 기획자 vs 사업자향 서비스의 기획자

 

- B2C B2B 서비스 기획자가 갖춰야 할 가장 큰 역량: 고객이 필요한 제품,서비스를 예측하고,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

출처: zero-base Corp.

1) B2C 서비스 기획자

   - B2C 서비스 기획자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기획

- 그들의 주된 목표는 개인의 만족감과 목표를 달성하는 것.

- 이를 위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철저히 분석하고, 그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서비스를 발전시키는 데 집중.

- 이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 B2C 서비스 기획자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기획

- 그 경험을 통해 서비스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서비스의 사용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한다.

 

   - 데이터 분석과 개인의 경험은 이러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

-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경험은 매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 Ex) 인스타그램, 클럽하우스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이러한 B2C 서비스의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2) B2B 서비스 기획자

   - B2B 서비스 기획자는 회사나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획

- 그들의 주된 목표는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

- B2B 서비스 기획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획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 B2B 서비스 기획자는 특정 도메인이나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

-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식, 그리고 경험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

- 이러한 전문성은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된다.

 

   - Ex) 호텔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 호텔 운영에 대한 전문성은 필수적이다. 호텔 운영에 대한 이해 없이는 호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B2B 서비스 기획자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한다.

 

-      결국, B2C B2B 서비스 기획자 모두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서비스를 예측하고, 문제를 인식하며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그들이 집중해야 하는 고객의 유형과 목표, 그리고 필요한 역량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고객과 사용자

3-1) B2C 서비스 기획:

- 기획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특정 페르소나를 분석한다.

- 구매자와 사용자가 동일하며, 사용자가 문제를 직접 인식하고 그에 따라 구매를 결정한다.

- 서비스는 폭발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며, 빠른 구매 결정이 가능하다.

- 신규 기능 도입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력이 높으며, 업데이트 주기가 촘촘하게 진행된다.

-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진다.

 

3-2) B2B 서비스 기획:

- 특정 그룹의 고객을 위한 기획이며, 페르소나는 제품의 실제 사용자와 제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자로 분류된다.

- 구매자와 사용자가 다르며, 사용자의 필요성 제안 또는 외부 영업자의 제안에 의해 서비스가 적용된다.

- 서비스는 꾸준한 성장을 목표로 하며, 사용자 이탈률이 낮다. 이는 계약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 구매 결정이 다소 시간이 걸리며, 서비스 비용이 크다.

- 신규 기능 도입에 대한 사용자 비용이 발생하므로, 점진적인 개선을 지향한다.

- 업데이트 시, 사용자 적응에 대한 부담감이 크므로, 사용자 동선이 크게 변경되는 부분은 배제하려고 한다.

 

728x90
반응형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day 2024.01.13. (2)  (1) 2024.01.13
5 day 2024.01.13.  (1) 2024.01.13
3 day 2024.01.11.  (1) 2024.01.12
2 day 2024.01.10.  (1) 2024.01.10
1 day 2024.01.09.  (3)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