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프로젝트 관리 방법
1.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1
1)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 분석
- 리소스 한계: 인력과 일정이 한정되어 있어 모든 요구사항을 반영하거나 높은 퀄리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움
- 의사결정권자의 부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나, 명확한 의사결정권자에 의한 우선순위 설정이 중요
- 프로젝트 방향성의 불안정성: 제품의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변경될 경우 프로젝트 실패 가능성 증가
- 커뮤니케이션 문제: 정확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문제 발생
- 리스크 관리 실패: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프로젝트에 문제 발생
2)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방법
- 제품 혹은 서비스의 컨셉을 구현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능을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야함
- 킬러피처 또는 핵심 기능, 컨셉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설정
- Ex):
- '카카오톡': 핵심 기능은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따라서 '메시지 전송'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음. 그 다음으로 '프로필 사진', '배경사진' 등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
- '인스타그램': 핵심 기능은 '이미지를 공유'. 따라서 '이미지 업로드'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음. 그 다음으로 '릴스', '스토리' 등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
- '에어비엔비': 핵심 기능은 '숙박 예약'. 우선순위는 '숙소예약'.
- '링크드인': 핵심 기능은 '비즈니스 프로필 공유'. 따라서 '프로필 작성'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음.
- '넷플릭스': 핵심 기능은 '영상재생'. 이를 우선순위로 설정.
2.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2
1) 우선순위 설정 고려사항:
- 서비스 컨셉: 킬러피처 선정
- 일정(데드라인): 한정된 일정 내 최대 효율 창출
- 가용 가능한 리소스: 한정된 자원으로 우선순위 설정
2)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기법:
- MoSCoW방법론: 애자일 프로덕트 관리에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기법
• Must Have: 핵심 기능에 해당
Ex)인스타그램'의 정체성과 핵심기능인 '이미지 업로드,공유 기능'
• Should Have: 필수 기능은 아니지만, 서비스 성공에 도움이 되는 기능
Ex) '인스타그램'의 필수기능은 아니지만, 초기 성공인 주요 원인으로 '이미지 필터 기능'
• Could Have: 있으면 좋은 정도의 기능
Ex) '인스타그램'의 초기 기획자로 가정 했을 때, '스토리'기능을 예상할 수 있음 (해당 서비스의 핵심기능 감안)
• Won’t Have: 당장 필수로 포함될 필요가 없는 기능
Ex) '인스타그램'의 초기 기획자로서 '샵'기능 → 최근에는 커머스 부분에 있어서 필요하지만, 초기 시점인 부분 감안
2-1) 워킹 스켈레톤(Walking Skeleton)방법론: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 or 서비스의 PoC 버전을 만드는 기법
-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 or 서비스의 PoC(ProofofConcept)버전이며, 주로 MVP(Minimum Valuable Product, 최소한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의 우선순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기법
• 사용자 스토리에 우선순위 책정 필요
• 완전하게 동작하는 제품의 형태를 갖고 있어야 함
• 비즈니스 가치를 충분히 내포해야 함
2-2) RICE 방법론: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등급점수 모델을 사용하는 기법
• Reach: 특정 기간 동안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수를 반영
주로 DAU/MAU 등 사용자 지표 활용
• Impact: 각 기능/제품의 컨셉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Ex) ’매우높은영향력’-3점,‘높음’-2점,‘중간’-1점,‘낮음’-0.5점,‘최소’-0.25점
• Confidence: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이 얼마나 사용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추정값
Ex) 높은신뢰도-80, 낮은신뢰도-50
• Effort: 각 담당자의 리소스 & 소요시간을 나타냄
3.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관리
1) 일정관리의 중요성
- 프로젝트의 성공은 각 단계별 완성도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마무리 과정에서도 중요.
- 이를 위해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여, 모든 정보를 정확한 포맷으로 공유하고, 각 단계별 진행 상황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
2)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관리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흐름은 요구사항 정리에서 시작하여 개발 필요사항 정리, 리소스 산정, 그리고 프로젝트 운영으로 이어진다.
- 요구사항 정리 (상위 기획서 작성) > 개발 필요사항 정리 (백로그 작성) > 리소스 산정 (WBS 작성) > 프로젝트 운영 (간트 작성)
- 요구사항 정리 (상위 기획서 작성): 프로젝트의 방향성, 핵심 기능, 그리고 계획 등을 상위 경영진과 합의하는 과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반적인 틀을 결정)
- 개발 필요사항 정리 (백로그 작성):
합의된 기획을 바탕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요구사항과 예상 소요비용을 정리하는 단계. (백로그라는 도구를 사용해 사용자 스토리, 제약사항, 구현 우선순위 등을 정리.)
- 위 합의된 '상위 기획서'바탕으로 '서비스 요구사항' 정리 → 1차 백로그(초안): '스펙변경/리뷰(a라는 로직을 통해서 A기능 구체적으로 선보임)/비용산정/의사결정'에 대해서 반복적인 정작업 (구현가능성, 사업안 바탕으로 피드백 반영) → 백로그 리뷰(유관부서에게 최종 리뷰) → 백로그 검토(개발팀&디자인팀에서 최종본으로 2차 검토) → 개발준비 (담당자 지정, 비용산정) → 일정산정
- 리소스 산정 (WBS 작성): 프로젝트 범위와 최종 산출물을 기준으로 세부 요소를 분할하여 작업 단위를 식별하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작성하는 과정. ( 각 담당자의 업무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누락된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예방)
- 프로젝트의 범위와 최종산출물을 기준으로 세부요소로 분할한 문서
(IA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WBS는 엑셀로 제작)
•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업무식별 프로젝트 구현을 위한 작업단위를 세분화함로서 업무식별 가능 → 각 담당자, 업무 진행상황, 누락상황 등 확인 가능 (이를 통해 누락된 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예방)
• 일정 계획 및 산정 직무할당표를 설정함으로서 담당자 식별용이 및 작업 세분화에 따른 일정 소요기간 수집용이
• 팀간 의사소통 각 할당 작업분야를 벗어나 전체 작업범위를 공유함으로서 서비스 구현에 대한 방향성 공유 및 진행상황 공유 용이 (전체적인 플로우 인지 가능)
- 프로젝트 운영 (간트 작성):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간트차트를 작성하는 단계. (BS에서 작성된 워크패키지를 기준으로 일정을 산정하고, 병목 현상을 확인해 개선.)
• 프로젝트 관리
: 전체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함으로서 팀 멤버들간의 협업증진 개발일정의 병목원인 확인 및 개선용이
• 간트차트 작성툴
: 내부에 사용하는 프로젝트 관리툴(Ex.AtlassianJira)의 경우 간트차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 워크패키지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간트차트가 생성됨.(Ex.JiraPlans), WBS와 비슷하나, 각 담당자가 몇일 동안 무엇을 하겠다는 디테일한 스케줄링
- 모르는 단어
- 킬러피처: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가장 독특하고 매력적인 기능을 의미 (차별화)
- PoC(=Proof of Concept): 어떤 아이디어나 개념, 시스템 등이 실제로 실행 가능하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증명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작업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day 2024.01.13. (2) (1) | 2024.01.13 |
---|---|
4 day 2024.01.12. (1) | 2024.01.12 |
3 day 2024.01.11. (1) | 2024.01.12 |
2 day 2024.01.10. (1) | 2024.01.10 |
1 day 2024.01.09. (3)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