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405

5 day 2024.01.19. 09.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서비스 기획(2) 4. 다양한 데이터 분석 도구들 1) 초급 1-1) GA(Google Analytics) - 종류: Google에서 제공하는 웹 분석 서비스이다. 사용자를 로그 기반으로 트래킹하여 보기 쉬운 형태로 제공해주는 분석 도구. - 장점: 무료로 제공되는 툴이며, 초기 스타트업이 주로 사용. 웹 트래픽과 사용자 행동을 쉽게 트래킹하고 분석할 수 있다. - 단점: 웹 분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앱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초반에는 GA 툴을 활용하고, 이후에는 다른 데이터 시스템으로 디테일화하는 것이 좋다. 1-2) Excel - 종류: 상용화된 툴로, RAW 데이터를 따로 추출해서 엑셀에 넣고,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활용하면 다양한 기준에 따른 데이.. 2024. 1. 19.
4 day 2024.01.18. 08. 서비스 기획 업무 A~Z 알아보기 29. AB Test Case study - goodui.org 1) Airbnb A/B 테스트 사례 1-1) 성공 사례: 유저 별점 노출 (2019년 9월 23일) - 실험군: 별 개수 채우기 및 댓글 - 대조군: 별점 숫자로 표기, 리뷰 개수, 별점/리뷰의 색상 차이 - 결과: 유저들의 명확한 판단과 판매자의 서비스 개선에 도움을 줌 1-2) 실패 사례: 업체의 가용일정 노출 (2020년 9월 3일) - 실험군: 체크인/체크아웃 일정 및 게스트 인원 - 대조군: 업체 가용일정 노출 - 결과: 소비자의 편의성 제공을 위해 업체 예약 가능 일정을 사전에 노출했으나, 유저들의 예약 일정이 광범위하므로 사용율 저조 1-3) 성공 사례: 예약하기 버튼 상단으로 이동 (.. 2024. 1. 18.
3 day 2024.01.17. 08. 서비스 기획 업무 A~Z 알아보기 16. MVP 이해하기 1) MVP(Minimum Viable Product) 정의 - The Lean Startup의 저자 에릭 리스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 - 최소한의 노력으로 고객에 대한 최대의 배움을 얻을 수 있는 제품 2) MVP의 필요성 - 출시, 측정, 배움, pivot 또는 개선으로 이어지는 피드백 루프를 효율적으로 형성 - 제품 출시, 유저의 반응 측정, 비즈니스 모델 학습, 피보팅 또는 개선의 반복 과정 3) Pivot - 기업이 기존 비즈니스 모델 또는 제품의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것 4) 좋은 MVP vs 나쁜 MVP - 좋은 MVP: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맞춰 사용자로부터 제품 관련 인사이트를 .. 2024. 1. 17.
2 day 2024.01.16. 08. 서비스 기획 업무 A~Z 알아보기(2) 9. 스크럼 스플린트 후 프로세스 1) 스프린트 종료(Finished Work) - 스프린트 리뷰와 스프린트 회고 로 구성. 2)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 - 스프린트 결과 확인: 팀원과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스프린트를 통해 무엇이 완료되었는지 확인 - 결과물 설명: 개발된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개발된 제품의 데모를 보여주는 것이 가장 좋다. - 다음 단계 의논: 리뷰 결과와 스프린트 중 변경된 백로그를 고려하여 다음에 무엇을 할지 함께 의논. - 피드백 수렴: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액션 아이템'을 뽑아낸다. 3) 스프린트 회고 (스프린트 진행 과정에 대한 토론) - 개선 계획: 스프린트.. 2024. 1. 16.
1 day 2024.01.15. 08. 서비스 기획 업무 A~Z 알아보기 3. 서비스 비즈니스를 이해하기 _ 린캔버스 1) PO에게 비즈니스가 중요한 이유 - PO(Product Owner)는 UX, Tech, Business 세 가지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팀을 이끌며, 비즈니스와 개발자의 요구사항을 매니징. - (비즈니스의 요구사항) ← (Product Owner) → (개발자의 요구사항) 2) 린캔버스의 정의 - 린캔버스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파생되었으며, 일부 항목이 추가/삭제되었습니다. - 삭제항목: 스타트업 기준으로 시기상조인 항목 제외 (고객관계, 핵심자원, 핵심파트너십) - 추가항목: 가설검증 항목 추가 (문제, 솔루션, 핵심지표, 경쟁우위) 3) .. 2024. 1. 16.
5 day 2024.01.13. (2) 07. 프로젝트 관리 방법 4.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중심에는 기획자가 위치하며, 내부와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추진. (내부 Comm - 수직) 상위매니저 / (내부 Comm. - 수평) 디자인, 개발 / 사업팀, 운영팀 (외부 Comm) 사용자, 파트너 1)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 주요 대상: 상위 의사결정권자(상위 매니저, 경영진) - 주요 문서: 상위 기획서 - 목적: 서비스 방향성 및 컨셉 결정, 서비스 성공 여부 판단, 조직간 이슈 보고 - 상세 항목: 1-1) 상위기획서 • 현황분석 & 동기부여: 현 시장상황 분석, 제품/서비스의 구현방향 기술 (A기능 개발 시, A에 대한 기대효과) Ex) 헤어샵 예약의 경우, 독점적 .. 2024. 1. 13.
5 day 2024.01.13. 07. 프로젝트 관리 방법 1.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1 1)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 분석 - 리소스 한계: 인력과 일정이 한정되어 있어 모든 요구사항을 반영하거나 높은 퀄리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움 - 의사결정권자의 부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나, 명확한 의사결정권자에 의한 우선순위 설정이 중요 - 프로젝트 방향성의 불안정성: 제품의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변경될 경우 프로젝트 실패 가능성 증가 - 커뮤니케이션 문제: 정확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문제 발생 - 리스크 관리 실패: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프로젝트에 문제 발생 2)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방법 - 제품 혹은 서비스의 컨셉을 구현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능을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야함 - 킬러피처 또는 핵심 기능, 컨셉을 .. 2024. 1. 13.
4 day 2024.01.12.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2) 4.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1) 사용자향 서비스(B2C, Business to Customer) - 일반 사용자들이 대상 - ex) 네이버, 카카오,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 쿠팡, 유튜브, 인스타그램, 에어비앤비, 넷플릭스 등이 이에 해당. -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이 직접 사용가치를 느끼는 것이 목표. 2) 사업자향 서비스(B2B, Business to Business) - 다른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일반 사용자에게는 제공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 슬랙, 세일포스, 쇼피, DATADOG 등이 이에 해당. - 사업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의 사업 활동에 도움이 되는 .. 2024. 1. 12.
3 day 2024.01.11.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1) 1. 서비스 기획자란? - 팀 플레이어 역할 (제품'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 - PO, PM, 기획자 등 세부적인 업무는 상이, but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직업 1) 서비스 기획자란? - 서비스 기획자 - 서비스 기획자 역할: 사용자의 필요성을 파악,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는 역할 이를 위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 - 협업능력 필요: 서비스 기획자는 혼자서 제품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UX, 개발팀,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부서와 협업하는 능력이 필요. 각 팀의 역할을 이해하고, 팀 간의 어려움을 해결하며 보틀넥을 제거하는 역할도 수행. - 기획서 작성 및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 2024. 1. 12.
2 day 2024.01.10. 05. 그로스 해킹(2) 5. 사용자 활성화 (Activation) 1) 활성화(Activation) - 서비스 기획자가 고객에게 원하는 행동을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서비스의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고, 고객이 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을 목표. 2) 퍼널 분석 -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고객이 이탈하는 지점을 파악하는 분석 도구. 이를 통해 이탈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Ex) Airbnb 퍼널 - [ 서비스 방문 → (50% out) 지역탐색 → (30% out) 객실탐색 → (15% out) 후기검색 → (3% out) 객실예약] 2-1) 문제점 인식: 후기 검색에서 많은 이탈율 발생. 2-2) 일탈사유 .. 2024. 1. 10.
1 day 2024.01.09. 05. 그로스 해킹(1) 1. 그로스 해킹이란? - PMF를 찾은 스타트업 기획자가 성장을 위한 방법 - PMF을 찾기 위해 실험에 집중하고 + PMF을 찾은 이후 본적적인 성장을 위해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이 필요 - Growth: 커지다, 증가하다, 성장하다. - Hacking: 해킹 or 경작하다. - 그로스 해킹이란 기존에 없던 시장을 창조하고, 고객을 발굴하여 키워내는 것을 목표로 한 '저비용 고효율의 마케팅' 전략. 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마케팅 광고보다는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고객을 발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1) 서비스 기획자가 그로스 해킹을 알아야 하는 이유 -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역할은 맡은 프로덕트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 이를 위해 그.. 2024. 1. 10.
4 day 2024.01.07. 04.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4-1. 사업 초기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1) 회사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 1-1) 에이전시, SI - 업무: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IT제품을 제작하고 납품하는 것 - 목표: 지정된 시간에 요청한 스펙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 - 에이전시: 웹 or 앱 제작 요청 시, 외주 및 수주를 받아서 전문적으로 만드는 회사 (광고 에이전시, 컨설트 에이전시 / 무언갈 만드는 곳) - SI(System Intergration):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IT 관련된 수많은 요소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및 운영하는 회사 (금융, 은행 등 계열사의 전산 외주업무 담당 / 시스템 통합 및 구축, 유지보수 하는 곳) 1-2) PMF를 찾는 중인 회사 - 업무: .. 2024. 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