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M스쿨39

2 day 2024.01.30. 13. 프로젝트 이해하기(2) 10. 프로젝트 PROCESS 0. 관리/착수 -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단계로, 프로젝트 목표와 비즈니스 모델 설정 - 환경 및 비용 고려 1. 프로젝트 계획 - 사전정보 요청서(RFI) 작성 및 제출 - 제안 및 견적 요청서(RFP, RFQ) 작성 및 제출 - 제안서, 견적서, 투입 계획서 등 제출 2. 분석 - 시스템 분석 및 개발 분석 진행 - 서비스 기획자는 이 단계에서 가장 바쁜 시기를 보내게 됨 3. 설계 - 정보 구조(IA) 설계 - 프로젝트 분석 바탕으로 서비스 프로세스 정의 4. 구현 - 스토리보드 리뷰를 통해 필요한 변경사항 보완 - 단위 테스트를 통해 기획안 및 디자인과 개발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확인 5. 검수/테스트 - 구현 단계보다 더 깊은 수준의 테.. 2024. 1. 30.
1 day 2024.01.29. 13. 프로젝트 이해하기 1. 프로젝트 이해하기 - 프로젝트 PROCESS (프로젝트 계획 - 분석 - 설계 - 구현 - 검수 - 종료 - 안정화 - 프로젝트 산출) 2. 프로젝트 개념 1. 프로젝트의 개념: - 정의: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기간 동안 수행되는 일련의 작업 - 조건: 정해진 기간, 배정된 예산, 투입 인력 등 제한된 자원 하에서 요구사항을 수행 - 목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정된 기간 내에 정해진 목표를 달성 - 중요성: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접수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 2. 프로젝트 추진 배경: - 비즈니스 전략의 변경: 비즈니스 방향성이 바뀔 때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필요 - 새로운 서비스 또는 제품 런칭: 신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고 시장에 선보이기 .. 2024. 1. 29.
6 day 2024.01.28. 12.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3) 16. 기회자가 UX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1. 사용자 이해 : 사용자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자 이해 & 분석 - 사용자 분석을 통한 경험 개선: 사용자의 행동 패턴, 선호도, 필요성 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선 - 고객 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개선: 고객들의 의견이나 제안을 통해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 -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우선순위 선정: 사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어떤 서비스가 중요한지, 또는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이에 따라 우선 순위를 선정 - 빠른 고객 접근 및 비즈니스 아이디어 창출: 사용자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2024. 1. 28.
5 day 2024.01.24. 12.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2) 9. UX 기획을 위한 컨셉 메이킹 1. UX 기획을 위한 컨셉 메이킹 - UX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에 대한 컨셉을 아이데이션 2. 컨셉 메이킹 방법론 - 아이디어와 기획의 시각화: 머리 속의 생각들을 구체화시키는 기초 작업 Ex) '넷플릭스' OTT 서비스가 완전히 만들어지기 전, 어떻게 기획하면 좋을 지 기획 (완전 초기 단계) - 시각화의 초기 단계: 서비스와 기능의 구조를 그려내는 방법 Ex) 머리 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조금 더 시각화 → 사전에 (서비스 기획 수업은 어디가 좋은지? 금액은? 등) 고려사항 → 자사 서비스를 실현화 하는 것 3. UX 전략과 기획전략 - UX 전략: 실제 서비스를 만들기 전, [Context]와 [Needs]에 .. 2024. 1.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