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S68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실제 TCP 프로토콜 데이터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실제 TCP 프로토콜 데이터 이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CP 프로토콜의 구조와 실제 데이터 전송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해 봅시다. 1. TCP 프로토콜 데이터의 구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패킷은 헤더와 데이터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CP Header: 헤더는 패킷의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여기에는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시퀀스 번호, 확인 응답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패킷이 올바르게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ata Section: 데이터 섹션은 실제 전송하려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웹 페이지 내용이나 .. 2023. 9. 16.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TCP 프로토콜, 3 way hand shake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TCP 프로토콜과 3-way Handshake 이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담당하는 TCP와 그 중심 메커니즘인 3-way Handshake에 대한 이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안전하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해 봅시다. 1. TCP 프로토콜의 개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웹 브라우징, 이메일 전송, 파일 다운로드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TCP는 패킷 손실, 순서 변경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 2023. 9. 15.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TCP/IP모델과 IP 프로토콜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TCP/IP 모델과 IP 프로토콜 이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인 TCP/IP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욱 깊게 파악해 봅시다. 1. TCP/IP 모델이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모델은 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프로토콜 세트입니다. OSI 7 계층 모델과 비슷하지만, 좀 더 단순화된 4 계층 구조를 가지며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2. TCP/IP의 4가지 계층 TCP/IP 모델은 아래와 같이 4개의 계층으로 나뉩니다: 응용(Application) 계층: 사용자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계층으로 HTTP,.. 2023. 9. 14.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OSI 7 레이어(5, 6, 7계층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OSI 7 레이어(5, 6, 7 계층계층 이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송 계층에 이어서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을 살펴보며 네트워크 통신의 상위 계층에 대한 이해를 높여봅시다. 1. OSI 7 레이어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안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7개의 독립된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각각의 계층은 특정한 목적과 기능들을 담당하며 상위와 하위 계층과 서비스를 교환합니다. 2.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세션 계층은 OSI 모델의 다섯 번째 단계로서, 네트워크상에서 통.. 2023. 9. 13.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