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S68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FTP와 웹브라우저 동작과정 이해 및 정리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FTP와 웹브라우저 동작과정 이해 및 정리'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적인 방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FTP와 웹 브라우저의 작동 원리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FTP(File Transfer Protocol) 이해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FTP는 별도의 로그인 과정을 거치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파일들도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FT.. 2023. 9. 28.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주요 응용계층 프로토콜, DNS, SMTP, POP3, IMAP 이해(주요 응용계층 프로토콜)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주요 응용계층 프로토콜, DNS, SMTP, POP3, IMAP 이해'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이들 프로토콜은 인터넷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1. 주요 응용계층 프로토콜 소개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은 OSI 7 계층 중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인터랙션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합니다. 여기서는 주요한 네 가지 응용계층 프로토콜인 DNS, SMTP, POP3 그리고 IMAP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2. DNS(Domain Name System) 이해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웹 브라우저의 UR.. 2023. 9. 27.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Rest API와 HTTP 프로토콜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Rest API와 HTTP 프로토콜 이해'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웹 서비스의 핵심 구성 요소인 Rest API와 HTTP 프로토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 둘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소개 Rest API는 웹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칙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 원칙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Restful API라고 부릅니다. Res.. 2023. 9. 26.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URL과 HTTPS 이해(HTTP 프로토콜)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URL과 HTTPS 이해(HTTP 프로토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웹사이트 주소와 보안 프로토콜인 HTTP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 둘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소개 URL은 인터넷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내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가 바로 URL입니다. URL은 스킴(Scheme), 호스트(Host), 포트(Port), 경로(Path), 쿼리(Query)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킴(Scheme)은 사용할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대부분 'http' 또는 'https'를 사용합니다. 호스트.. 2023. 9.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