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 사이언스69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이해'라는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주제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프로세스의 실행 방식에 대한 것입니다. 특히 유닉스 기반 시스템(예: 리눅스)에서는 포그라운드(Foreground)와 백그라운드(Background)라는 두 가지 주요 실행 방식을 제공합니다. 1. 포그라운드 (Foreground) 포그라운드란 사용자가 현재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있는 작업을 말합니다. 즉,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여 시작한 프로세스가 바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입니다. 이러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vim.. 2023. 8. 27.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이해'라는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와 같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는 명령어의 출력을 다른 곳으로 보내거나, 여러 명령어를 서로 연결하여 작업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이런 기능들은 리다이렉션(Redirection)과 파이프(Pipe)라고 부릅니다. 리다이렉션은 표준 입력(stdin), 표준 출력(stdout), 그리고 에러 출력(stderr)의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명령어의 결과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파일의 내용을 명령어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이프(|)는 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으 출력을 다른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입력으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여러 개의 단순한 명령들을 조.. 2023. 8. 26.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 이해'라는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보안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권한 설정은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읽기, 쓰기, 실행)을 제어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설정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명령어 소개 및 사용법 1) `chmod` (Change Mode) `chmo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읽기, 쓰기, 실행)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사용법: `chmod [옵션] [권한]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주요 옵션: - `-R`: 지정된 디렉.. 2023. 8. 25.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리눅스 파일 기본 명령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리눅스 파일 기본 명령어'라는 주제로 보다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서 전 세계 수많은 서버, 개발자, 그리고 일반 사용자들의 작업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명령어들을 좀 더 깊게 배워봅시다. 1. 명령어 소개 및 사용법 1) `ls` (List Directory Contents) 기능: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합니다. 사용법: `ls [옵션] [디렉토리]` 주요 옵션: `-l`: 파일의 상세 정보를 함께 출력합니다 (권한, 소유자, 그룹, 크기, 수정 날짜 등). `-a`: 숨겨진 파일(점(.)으로 시작하는 파일)까지 출.. 2023. 8. 2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