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 이해

by vita12321 2023. 8. 25.
728x90
반응형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오늘은 '리눅스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 이해'라는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보안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권한 설정은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해 수행할 있는 작업(읽기, 쓰기, 실행) 제어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설정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명령어 소개 사용법

 

1) `chmod` (Change Mode)

 

`chmo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읽기, 쓰기, 실행) 변경하는 사용됩니다.

 

  • 사용법: `chmod [옵션] [권한]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 주요 옵션:

- `-R`: 지정된 디렉토리와 하위 항목들의 권한까지 변경합니다.

- `-v`: 작업 진행 상황을 출력합니다.

 

권한은 숫자(4: 읽기, 2: 쓰기, 1: 실행) 합산하여 표현하거나 문자(rwx) 표현할 있습니다.

 

  • 예시:

- `chmod 755 file.txt`: 'file.txt' 대해 소유자는 읽기/쓰기/실행(7), 사용자는 읽기/실행(5) 권한이 부여됩니다.

- `chmod u=rwx,g=rx,o=rx file.txt`: 위와 동일한 작업을 문자로 표현하였습니다.

 

 

2) `chown` (Change Owner)

 

`chown` 명령어를 이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할 있습니다.

 

  • 사용법: `chown [옵션] [사용자]:[그룹]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 주요 옵션:

- `-R`: 지정된 디렉토리와 하위 항목들의 소유자까지 변경합니다.

- `-v`: 작업 진행 상황을 출력합니다.

 

  • 예시:

- `chown user1:usergroup file.txt`: 'file.txt' 속성을 'user1'이라는 사용자와 'usergroup'이라는 그룹으로 변경합니다.


2. 실습 예제

 

이제를 진행해 봅시다.

 

1) 'file1.txt'라는 파일의 권한을 확인합니다.

ls -l file1.txt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되어 확인할 있습니다:

 

`-rw-r--r-- 1 user1 usergroup1 0 Sep 01 12:00 file1.txt`

 

여기서 `-rw-r--r--` 부분이 파일 권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2) 'file1.txt' 대해 소유자는 읽기/쓰기/실행, 사용자는 읽기/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chmod 755 file1.txt

 

 

3) 변경된 권한을 확인합니다.

 

ls -l file1.txt

 

명령어를 실행하면 'file1.txt' 권한이 `-rwxr-xr-x` (755)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4) 'file1.txt' 속성을 'user2'이라는 사용자와 'usergroup2'이라는 그룹으로 변경합니다.

 

chown user2:usergroup2 file1.txt

 

 

5) 변경된 소유자를 확인합니다.

 

ls -l file1.txt

 

명령어를 실행하면 소유자와 그룹이 `user2 usergroup2` 변경된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3. 결론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 설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시스템 보안 데이터 무결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 배운 `chmod` `chown` 명령어를 이용하면 파일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권을 적절하게 관리할 있습니다. 또한, 외에도 파일 디렉터리에 대한 그룹 설정 명령어 `chgrp` 추가적인 명령어와 옵션들이 존재하니, 이들을 찾아보며 계속 연습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로 인해 리눅스 환경에서의 작업이 훨씬 간소화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