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34. 서비스 기획서 완성하기
Step 1) 기획 단계
- 사용자 분석
- UX/UI 분석
- 서비스 분석
- 트랜드 분석
- 시장 분석
Step 2) 설계 단계
-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서 작성
- 정책 정의하기
- IA(정보 구조화) 작성하기
- User Process + Flow Chart 작성하기
- WireFrame(화면설계서) 작성하기
- 서비스 기획서 완성하기
1. 서비스 기획서 작성
1) 개정이력(History)
· 목적: 문서의 버전 관리를 통해 변경 사항과 그 이유, 담당자를 명확하게 기록.
· 항목:
· 버전 번호
· 변경 날짜
· 변경 내용
· 변경한 사람
· 변경 이유
2) 정책정의
· 목적: 서비스의 기본 방향성과 운영 규칙을 설정하여 명확한 기획 방향 제시.
· 항목:
· 서비스 목표
· 사용자 정책
· 운영 정책
· 데이터 처리 방침
3) TO-BE I.A(Information Architecture)
· 목적: 서비스의 정보 구조와 내비게이션을 설계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항목:
· 주요 카테고리
· 하위 카테고리
· 정보 구조도
· 내비게이션 구조
4) 서비스 프로세스 및 플로우차트(Flowchart)
· 목적: 서비스의 각 기능과 사용자의 행동을 매핑하여 사용자 경험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
· 항목:
· 사용자 액션
· 시스템 반응
· 기능별 흐름도
· 사용자 경험 흐름도
5) 레이아웃(Layout)
· 목적: 화면의 전체적인 구성을 정의하여 디자인과 컨텐츠의 통일성을 확보.
· 항목:
· 메인 화면 레이아웃
· 서브 화면 레이아웃
· 컨텐츠 배치 계획
· 디자인 가이드라인
6) 시나리오(=스토리보드,화면설계서)(=프로토타입)
· 목적: 기능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의 배치, 화면 구조, 화면 간의 흐름과 전환, 상호작용을 설계.
· 항목:
· 화면별 기능
· 인터페이스 요소 배치
· 화면 전환 로직
· 사용자 상호작용 설계
7) 디스크립션 정의 내용
· 목적: 와이어프레임과 프로세스 흐름 내에서 구현될 로직의 디테일한 기술로, 화면의 완성도를 높임.
· 항목:
· 기능별 로직 설명
· IF 조건문 (방어 로직, 예외 케이스)
· 데이터 처리 로직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설명
- 에러 (=IF, 방어로직, 예외케이스)
2. 서비스 기획서 가이드(FO, Front Office)
1) 문체
· 목적: 서비스의 특성과 목표 사용자층에 맞는 문장 길이와 어조를 설정하여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 항목:
· 문장 길이: 짧고 간결 vs. 설명적이고 상세
· 어조: 공식적 vs. 친근한
· 사용자층: 전문가 대상 vs. 일반 사용자 대상
2) 레이블(Label)
· 목적: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는 용어에 대해 명확한 정의와 사용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항목:
· 용어 정의: 특정 용어의 정확한 의미 설명
· 동의어 및 혼동 용어 리스트: 피해야 할 용어 목록
· 사용 예시: 용어가 적절하게 사용된 문장이나 화면 예시
3) 컴포넌트(Component)
· 목적: 서비스 내 사용되는 모든 디자인 요소의 디테일을 정의하여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항목:
· 버튼 디자인: 모양, 크기, 색상
· 입력 필드 디자인: 모양, 크기, 테두리 스타일
· 아이콘 사용: 아이콘의 디자인과 사용 상황
· 컬러 팔레트: 서비스 전반에 사용되는 색상 코드
4) 디스크립션(Description)
· 목적: 텍스트와 아이콘 등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가이드를 제공하여, 개발 시 일관된 UI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항목:
· 폰트 스타일: 사용 폰트, 사이즈, 두께
· 색상: 텍스트 색상, 배경 색상, 강조 색상
· 아이콘: 상황별 아이콘 정의 및 사용 가이드
· 상태 표시: 에러, 경고, 성공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각적 요소
5) 고정값 (Common Elements)
1. 헤더 (Header)
- 목적: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항상 접근할 수 있도록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된 네비게이션 바.
- 구성 요소:
2. 풋터 (Footer)
- 목적: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정보, 링크 등을 제공하는 고정된 영역.
- 구성 요소:
1) 변경값 (Variable Elements)
1. 작업 영역 (Workspace)
- 목적: 서비스의 주요 콘텐츠가 표시되는 변경 가능한 영역. 각 페이지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표시.
- 구성 요소:
작업문서 구성
- 고정값 문서 (Common Document): 헤더와 풋터와 같은 고정된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 전반에 걸쳐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
- 변경값 문서 (Variable Document): 각 페이지나 기능별로 다르게 표시되는 작업 영역의 디테일한 구성요소와 디자인 가이드.
PM 작업 가이드
- 같은 프로젝트 매니저(PM)가 작업하는 경우, 고정값과 변경값을 포함한 전체 디자인 가이드를 한 문서에 통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서 내에서 고정값과 변경값을 명확히 구분하여 기술하는 것이 중요.
3. 서비스 기획서 가이드(BO, Back Offic)
- 시니어 및 시스템 운영하는 회사 중심으로 가이드 작성 (FO 가이드보다 기능적으로 더 디테일 + 샘플링 제공)
-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작성하는 데 도움.
- 각 단계와 항목을 통해 모든 관련 정보가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며, 이는 프로젝트 관리자와 개발 팀 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촉진
1) 개요
- 목적: 관리사이트의 편의성 및 쉬운 접근성 강화
- 대상: 시니어 및 시스템 운영 회사
- 구현 기준: 웹 사이트 (패드/모바일은 예외)
- 구성 요소: LNB(Local Navigation Bar), 작업영역
2) LNB(Local Navigation Bar) 설정
- 위치: 기본적으로 좌측에 세팅
- 기능: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줌
- 항목 예시: 대시보드, 사용자 관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정 등
3) CRUD 상세 가이드
3-1) 생성(Create)
- 목록 버튼: 새로운 항목을 생성하기 위한 '등록' 버튼 포함
- 입력 폼: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폼 제공
- 유효성 검사: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기능
- 확인/취소 버튼: 입력을 완료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버튼
3-2) 읽기(Read)
- 목록 조회: 생성된 항목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페이지
- 검색 및 필터: 특정 조건에 맞는 항목들을 찾기 위한 검색 및 필터 기능
- 페이지네이션: 목록이 길 경우 페이지 별로 나누어 보여주는 기능
- 상세 보기: 목록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그 항목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는 기능
3-3) 갱신(Update)
- 상세 수정: 항목의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 '수정' 버튼을 제공
- 수정 폼: 기존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수정할 수 있는 폼 제공
- 유효성 검사: 수정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재검사하는 기능
- 저장/취소 버튼: 변경사항을 저장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버튼
3-4) 삭제(Delete)
- 삭제 버튼: 각 항목별로 '삭제' 버튼 제공
- 삭제 확인: 실수로 중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확인 절차
- 배치 삭제: 여러 항목을 선택하여 한 번에 삭제할 수 있는 기능
4) 샘플링 제공
- 실제 사례를 통한 샘플 페이지 제공
- 각 CRUD 단계별로 기능을 시연할 수 있는 데모 페이지
4. 서비스 기획서 (화면정의서,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1) 표지 (Cover Page)
- 서비스 이름
- 문서 작성일
- 작성자 및 참여자 정보
2) 서비스 개요 (Service Overview)
- 기획 배경: 서비스 기획의 배경 설명 (예: 회원가입 저조의 원인과 개선점 발견)
- 기획 목적: 서비스 기획의 명확한 목적 기술
- 기대효과: 서비스로 인한 정량적, 정성적 기대효과 명시
- 기능 요약: 서비스의 핵심 기능과 작동 방식 상세 설명
- 기타 사항: 추가 계획(예: A/B 테스트를 통한 기능 구현 계획)
3) 개정 이력 (Revision History)
- 문서의 변경 사항 (일시 & 내용) 기록
4) 정책 정의 (Policy Definition)
- 서비스 정책 및 관련 용어 정의
- 정책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업데이트 방법 명시
5) IA 작성하기 (Information Architecture)
- (1차) 메뉴 트리: 전체적인 구조화 이해를 위한 메뉴 트리 작성
- (2차) IA 문서 작성: 메뉴 트리를 바탕으로 한 IA 문서 상세 작성
6) 유저 프로세스 (User Process)
- 각 서비스/모듈별 프로세스 정의
- 프로세스의 순서, 흐름 (화살표 사용), 각 서비스별 상세 프로세스, 예외 케이스 작성
- 샘플 프로세스로 간단히 작성
7) 플로우 차트 (Flow Chart)
- 유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더 상세한 프로세스 플로우 차트 작성
8) 레이아웃 (Layout)
- 실제 프레임 설계를 위한 요구사항, 정책 정의, IA 문서 작성부터 프로세스 플로우까지의 단계별 문서 정의
9) 와이어프레임/스토리보드/시나리오 (Wireframe/Storyboard/Scenario)
서비스의 시각적 구현을 위한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시나리오 작성
'PM(Product Manager) > 학습일지 6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day 2024.05.10. (0) | 2024.05.10 |
---|---|
4 day 2024.05.09. (0) | 2024.05.09 |
3 day 2024.05.08. (0) | 2024.05.08 |
1 day 2024.05.06.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