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rogramming228

Git/GitHub: git 기본 동작 원리 이번 글에서는 git 기본 동작 원리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깃(Git)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으로 개발 프로젝트에서 코드 버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데도움이 되는 도구입니다. 깃 사용법을 마스터하면 프로젝트의 개발 및 협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깃의 원리와 구조 깃은 일련의 커밋을 추적하여 코드 변동사항을 기록합니다. 커밋은 파일 변경 이력 중 선형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체크포인트입니다. 각 커밋은 고유한 해시 값으로 식별됩니다. 깃의 주요 구성 요소: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개발자가 실제로 작업하는 공간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작업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공간 깃 디렉토리(Git Directory): 모든 .. 2023. 8. 24.
Git/Github: gitignore란 이번 글에서는 깃과 깃허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gitignore` 파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gitignore` 파일은 프로젝트의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깃 버전 관리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데 사용되는 설정 파일입니다. 1. `.gitignore` 이란? `.gitignore`는 프로젝트 내에 있는 특정한 파일들을 깃 저장소의 버전 관리 대상에서 제외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파일입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로그, 임시 데이터, 컴파일된 코드, 운영체제나 개발 도구 등으로 생성되는 시스템 파일 등을 Git 저장소에 포함시키지 않아 저장소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우선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원하는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bash $ cd [디렉터.. 2023. 8. 23.
Git/Github: 깃 초기화 및 삭제 이번 글에서는 깃의 초기화와 삭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깃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으로 개발 프로젝트에서 코드 버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깃을 사용하면 누가 언제 어떤 변동사항을 추가했는지 추적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1. 깃 초기화 (Initialize) 깃 초기화는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디렉토리를 깃 저장소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초기화를 진행하면 해당 디렉토리 내부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이 폴더에는 깃과 관련된 설정 정보 및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1) 터미널을 실행시킵니다. 2)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bash $ cd [디렉토리 경로] 3) 디렉토리에 깃을 초기화합니다. // bash $ git init 2. .. 2023. 8. 22.
Git/Github: 사용자 설정 및 세팅(Github Desktop) Git과 Github은 개발 작업에 있어 필수 도구로 여겨지고 있으며,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Git/Github: 사용자 설정 및 세팅(Github Desktop)'이라는 주제로 알아볼 것입니다. Github Desktop은 Git과 Github를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조작할 수 있게 도와주는 베타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입니다. Github Desktop을 사용하면 터미널 창 없이 간편하게 Git과 Github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Github Desktop 설치 Github Desktop 앱을 다운로드하려면 공식 웹사이트(https://desktop.github.com)에 접속한 후, 운영 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준비하고, 설치를 완료.. 2023. 8.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