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rogramming228 Git/GitHub: Add, Commit, Push 사용하기 이번 글에서는 Git/GitHub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인 'Add', 'Commit', 그리고 'Push'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세 가지 명령어는 코드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원격 저장소에 업데이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들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프로젝트의 개발 및 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Git Add, Commit, Push란? Git에서 'Add'는 작업 디렉터리에서 변경된 파일들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스테이징 영역이란 커밋될 변경사항들이 준비되는 곳입니다. 다음으로 'Commit'은 스테이징 영역의 변경사항들을 로컬 저장소에 확정(Commit)하는 과정입니다. 커밋은 코드베이스의 특정 시점을 찍어서 저장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나중에.. 2023. 8. 28. Git/GitHub: Clone 사용하기 이번 글에서는 Git/GitHub의 'Clone'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로컬에 복제하는 기능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타인과 협업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 개념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프로젝트의 개발 및 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Git Clone이란? Git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여 로컬 컴퓨터에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그 안에 원격 저장소의 파일들과 commit history를 가져오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하면 원격 저장소와 동일한 상태의 로컬 저장소가 만들어집니다. 2. Git Clone 사용 예제 원격 저장소 클론하기: $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한.. 2023. 8. 27. Git/GitHub: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와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이번 글에서는 Git의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it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으로, 로컬과 원격 저장소를 통해 프로젝트의 코드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프로젝트의 개발 및 협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Git의 주요 용어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개인 컴퓨터에 위치한 파일 디렉토리입니다. 여기서 직접 코드 변경 작업을 하며,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로컬 저장소는 개인이 직접 작업하는 공간으로, 이곳에서 버전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네트워크 어딘가에 위치한 파일 디렉토리입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 2023. 8. 26. Git/GitHub: git 기본 용어 이번 글에서는 git의 기본 용어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깃(Git)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으로 개발 프로젝트에서 코드 버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데도움이 되는 도구입니다. 깃 사용법을 마스터하면 프로젝트의 개발 및 협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Git의 주요 용어 커밋(Commit): 변경 사항을 저장하는 단위입니다. 각각의 커밋은 고유한 ID를 가지며, 이를 통해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브랜치(Branch): 작업의 분기점을 나타냅니다.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할 때 서로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하여 충돌을 방지합니다. 체크아웃(Checkout): 특정 커밋이나 브랜치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병합(Merge): 두개 이상의 브랜치를 합쳐서 하.. 2023. 8. 25.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