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332 기초수학: 점화식과 재귀함수 이 글에서는 자료구조/알고리즘 중 기초수학: 점화식과 재귀함수의 개념과 원리, 활용 방법 및 예시, 그리고 자바를 이용한 점화식과 재귀함수를 활용하는 예제 코드를 보다 자세하게 소개하겠습니다. 1. 점화식과 재귀함수의 개념과 원리의 이해 점화식(Recurrence relation)은 수열의 항과 그 이전 항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표현식입니다. 점화식은 특정 항을 나타내는 계산식이나 함수에 사용됩니다. 재귀함수(Recursive function)는 그 구현 방식에서 자기 자신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호출하는 함수입니다. 재귀함수는 점화식을 이용하여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한 것입니다. 재귀함수의 작동 원리는 함께 재귀 호출을 하면서 각각의 호출이 끝날 때마다 반환되는 값을 이용하여 원하는 결과값.. 2023. 8. 15.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API document 이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API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API 문서는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 방법과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여 다른 개발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API 문서의 중요성 및 필요성 API의 사용자(다른 개발자 혹은 시스템)는 웹 서비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엔드포인트와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API 문서의 역할입니다. 잘 정리된 API 문서는 개발자들이 빠르게 웹 서비스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API 문서는 웹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2.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API 문서 생성을 위한.. 2023. 8. 14.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가상 메모리를 위한 TLB 이해 하루에 하나씩 배우는 컴퓨터 사이언스 개념 시리즈에서 이번에는 가상 메모리를 위한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주소 변환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TLB의 동작과 특성에 대해 배워봅시다. 1.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개념과 배경 TLB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빠르게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규모 하드웨어 캐시입니다. CPU가 가상 주소에 접근할 때, 페이지 테이블을 찾기 위해 메모리를 여러 번 방문해야 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페이징 시스템에서 페이지 테이블은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페이지 테이블.. 2023. 8. 14. 기초수학: 조합 이 글에서는 자료구조/알고리즘 중 기초수학: 조합의 개념과 원리, 활용 방법 및 예시, 그리고 자바를 이용한 조합 및 중복 조합을 계산하는 예제 코드를 보다 깊게 소개하겠습니다. 1. 조합의 개념과 원리의 이해 조합(Combination)은 n개의 서로 다른 요소 가운데에서 r개를 선택하는 개념입니다. 조합에서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5명의 사람 중에서 3명을 선택하는 경우와 같이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그룹을 만드는 것을 조합이라고 합니다. 조합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조합이 공식화되기 이전에 발생한 문제들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중 하나는 로또입니다. 로또에서는 공들의 숫자들이 들어 있는 주머니 가운데에서 일부 숫자를 뽑아 맞추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이런 예에서 볼 수 .. 2023. 8. 14.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8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