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rogramming228 OOP 개념: 변수를 상수로 만드는 final 이번 글에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변수를 상수로 만드는 키워드 final'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클래스의 정적 필드와 메서드에 대해 배웠으니, 이제 final 키워드에 대해 더 깊게 살펴보겠습니다. 1. final 변수란 무엇인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final'은 한 번 할당되면 그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즉, 이 키워드가 붙은 변수는 초기화된 후부터 프로그램 종료 시까지 그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런 성질을 가진 변수들은 상수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모든 대문자와 밑줄을 사용하여 이름을 지정합니다. 2. 왜 final을 사용하는가? final 변수는 여러.. 2023. 9. 22. 데이터베이스 개념: DDL을 통한 DB 계정 생성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개념: DDL을 통한 DB 계정 생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중 RDBMS의 개념과 특징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을 활용하여 DB 계정 생성에 대해 더욱 깊게 알아보겠습니다. 1. DDL의 개념 및 원리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는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SQL 언어입니다. CREATE, ALTER, DROP 등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 등을 생성, 변경, 삭제할 수 있습니다. DDL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관련된 작업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작.. 2023. 9. 21. OOP 개념: 정적필드와 메소드를 위한 키워드 static 이번 글에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정적 필드와 메서드를 위한 키워드 static'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클래스의 생성자에 대해 배웠으니, 이제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되는 정적 필드와 메서드에 대해 더 깊게 살펴보겠습니다. 1. 정적 필드와 메서드란 무엇인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정적(static)'은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되는 필드와 메서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필드와 메서드는 객체(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마다 각각의 인스턴스에 할당됩니다. 그러나 'static' 키워드가 붙은 필드와 메서드는 클래스 단위로 한 번만 생성되며, 모든 인스턴스들이 공유합니다. 2. 왜 정적을 사용.. 2023. 9. 21. 데이터베이스 개념: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생성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개념: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생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에 글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개념과 특징, 종류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DBMS에서 중요한 단계인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생성'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하려 합니다. 1.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개념 및 원리 데이터베이스 인스턴트란 DBMS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독립적인 환경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서 서버를 시작할 때 생성되며, 메모리와 프로세서 리소스를 할당받아 작동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독립된 환경(즉, 인터페이스)에서 작업을 수행하며, .. 2023. 9. 20.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