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rogramming/Spring27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H2 DB 활용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데이터 관리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H2 DB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서 H2 DB 설정, 스프링 데이터 관리, H2 DB와의 연동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합니다. 1. H2 데이터베이스 소개 H2 데이터베이스는 자바 기반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 주로 개발 단계에서의 테스트 용도로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로 제공되며 라이센스 제약이 없습니다. H2 데이터베이스는 인 메모리 모드와 디스크 기반 모드를 지원하며, 다양한 SQL 기능과 JDBC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스프링 부트에 H2 데이터베이스 적용하기 먼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 H2 데이터베이스와 스프링 데이터 JPA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2.1. 의존성.. 2023. 8. 10.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테스트 코드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높은 품질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코드 작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테스트 코드의 개념과 작성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 작성 방법, 도구들, 예제 코드들을 소개합니다. 1.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테스트 코드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검증하고 결함을 찾을 수 있는 코드로, 개발 프로세스의 일부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 8. 9.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트랜잭션 개념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은 필수적인데, 이때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트랜잭션'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의 트랜잭션 개념과 처리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트랜잭션(Transaction) 개요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의 단위를 의미하며, 작업들이 실행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롤백되어 이전 상태로 돌아갑니다. 트랜잭션은 아래 네 가지 특성(ACID)을 만족해야 합니다.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들이 모두 성공하거나 실패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트랜잭션 내의 작업들이 완전하게 실행되거나 아예 .. 2023. 8. 8.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초: HTTP 프로토콜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근간을 이루는 웹 통신 기초 중 하나인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1. HTTP 프로토콜 개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전송할 수 있습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주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형식의 웹 콘텐츠입니다. 2. HTTP 작동 방식 HTTP는.. 2023. 8. 7.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