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JavaScript24

JavaScript 문법: use strict 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 문법: use strict'라는 주제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use strict'는 JavaScript의 엄격 모드(strict mode)를 활성화하는 지시자입니다. 이는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잠재적인 오류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JavaScript의 'use strict' 'use strict'는 ECMAScript 5 버전에서 도입된 엄격 모드를 활성화하는 지시자입니다. 이 지시자는 스크립트나 함수가 엄격 모드로 실행되도록 지시하는 문자열 표현식입니다. 엄격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JavaScript보다 더 많은 제약 조건을 적용하여, 잠재적인 오류를 방지하고, 코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합니다. 예시 코드: "use strict"; let.. 2023. 12. 1.
JavaScript 문법: 리터럴 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 문법: 리터럴'이라는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JavaScript의 리터럴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고정된 값입니다. 리터럴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은 코드의 효율성, 가독성, 그리고 유지 보수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JavaScript의 리터럴(Literals) 리터럴은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표현된 고정된 값입니다. 이는 변수에 할당될 수 있으며, 리터럴의 형태와 값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JavaScript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리터럴을 지원합니다. 이에는 숫자, 문자열, 불리언, 객체, 배열, null, undefined, 그리고 정규 표현식 리터럴이 포함됩니다. 예시 코드: let myNumber = 10; // 숫자 리터럴 let myStrin.. 2023. 11. 30.
JavaScript 문법: 식별자 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 문법: 식별자'라는 주제로 깊이 있게 배워보겠습니다. JavaScript의 식별자는 변수, 함수, 객체의 속성 등을 구별하고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식별자의 효율적인 사용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관리성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JavaScript의 식별자(Identifiers) 식별자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이는 데 사용되는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JavaScript에서 식별자는 변수 이름, 함수 이름, 객체의 속성 이름 등을 구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JavaScript의 식별자 작성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별자는 반드시 문자, 밑줄(_), 달러 기호($)로 시작해야 합니다. 식별자의 두 번째 문자부터는 숫자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식.. 2023. 11. 29.
JavaScript 문법: 제어문과 블록 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 문법: 제어문과 블록'에 대해 더 깊게 배워보겠습니다. JavaScript의 제어문과 블럭은 코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복잡한 로직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들의 기능과 활용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코드 작성에 적용하면 JavaScript 프로그래밍의 효율성과 가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 JavaScript의 제어문(Control Statements) 제어문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JavaScript에서는 주로 if, for, while, switch 등의 제어문을 사용합니다. if문: if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true) 일 때만 코드 블럭을 실행합니다. 조건이 거짓(false)인 경우, 코드 블.. 2023. 11.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