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day 2024.05.10.
15. Portfolio 작성
1. 서비스 개선 기획 (서비스 기획 사례)
1) 서비스 개선 기획
- (사례) 간편가입 도입을 통한 사용성 개선 → 시장조사 & 타서비스 분석을 통해, 간편로그인 도입 사례 적용
- 현 서비스 분석
- 개선 방향 검토
· 동종 타서비스 분석
· 도입 기능 정의
· 개선 방향 확정: 자사회원 도입 또는 간편회원 가입
· 서비스 보완 설계
2) 신규 서비스 기획
- 서비스 컨셉 정의
- 시장/사용자 분석
- 유사 서비스 분석
- 서비스 방향 확정
- 신규 서비스 기획
3) UI/UX 개선 기획
- 트랜드 분석 후, UX/UI 개선
- 이론을 바탕으로 UX/UI 개선
4) 패스트 캠퍼스
- 서비스 기획서 완성하기 수업을 통한 수업 내용 및 과제 정리.
5) 화면 설계서
- 신입 또는 1~3년 주니어 기획자들의 주요 업무.
2. 인사담당자의 시선 (실무자의 시선)
1) 트렌드와 서비스 분석 능력
· 현재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
2) 메뉴구조(Menu Tree)와 정보 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 이해
· 서비스의 메뉴 구조와 정보 구조를 이해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능력.
3) 서비스 프로세스(Service Process)와 플로우차트(Flowchart) 이해
· 서비스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와 플로우차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능력.
4) 스토리보드(Storyboard) 작성 능력
·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시각화하기 위해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
5) 서비스의 전체적인 로직 고민
· 서비스의 전체적인 로직과 구조를 깊이 있게 고민하고, 이를 최적화할 방안을 모색하는 능력.
6) 유연한 커뮤니케이션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하며, 유연하게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 (신입) 서비스 기획자 JD
- (경력) 서비스 기획자 JD
16. 스타트업의 Portfolio
1. 스타트업에서 선호하는 포폴 구성요소
1) 실제 프로젝트 참여 경험
· 단순히 '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수행한 프로젝트를 보여줄 필요가 있음.
· 서브 프로젝트라도 좋으니 프로젝트 참여 경력을 쌓을 것을 권장.
· 대형 스타트업 이직을 희망한다면, 인턴이나 작은 스타트업에서 1년 가량 경험을 쌓으며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을 권함.
2) 깊이 있는 한 가지 경험
· 많은 경험보다는 하나의 경험을 깊게 고민하고, 그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
· 문제 정의, 가설 설정, 시도, 결과 분석, 회고의 흐름이 담긴 프로젝트가 이상적.
3) 명확한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분석
· 유력 스타트업에 신입으로 들어가고자 한다면, 해당 스타트업에 대한 오랜 시간에 걸친 분석과 명확한 관심을 보여줘야 함.
· 비즈니스 모델, 사용자, 경쟁사, 프로덕트 분석 등을 포함.
4) 시각화된 자료의 중요성
· 면접관은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텍스트보다는 시각적 자료를 통해 빠르게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함.
5) 최소 한 가지 분야에서의 기술적 우수성
· 개발 지식, 데이터 분석, 디자인 감각 중에서 자신의 강점이나 특이사항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함.
2. Portfolio 템플릿
1) Intro:
· 나를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장.
2) Contents:
· 연도별 회사/프로젝트에 대한 부분.
3) Professional Summary:
· 내 업무 특징 및 역량을 10가지 내외로 요약.
4) Work Experiences:
· 각 기업에서 어떤 업무를 했는지 상세하게 기술.
· 기업명/기업규모/연도별 역할과 책임(RnR)/세부적인 주요 성과.
· 세부적인 내용은 링크로 연결하여 제공.
5) Projects in Detail:
· 각 세부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기재.
· 회사명/제품명/역할과 책임(RnR)/프로젝트 이름/수행 업무/주요 진행 업무 및 결과.
6) Education:
· 교육 이력.
7) Languages:
· 구사할 수 있는 언어 및 그 수준.
8) Technical Skills of Product Manager:
· Gibson Biddle의 'Hacking Your Product Management Career'에서 정의한 7가지 기술 스킬에 대한 10점 척도로 평가.
· Consumer Science
· Management
· Business
· Creative
· Design
· Technical
· Marketing
· 각 카테고리를 점수화하고, 그 사유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