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a12321 2024. 1. 30. 17:25
728x90
반응형

13. 프로젝트 이해하기(2)

10. 프로젝트 PROCESS

 

0. 관리/착수

   -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단계로, 프로젝트 목표와 비즈니스 모델 설정

   - 환경 및 비용 고려

 

출처: zero-base Corp.

 

1. 프로젝트 계획

   - 사전정보 요청서(RFI) 작성 및 제출

   - 제안 및 견적 요청서(RFP, RFQ) 작성 및 제출

   - 제안서, 견적서, 투입 계획서 등 제출

 

2. 분석

   - 시스템 분석 및 개발 분석 진행

   - 서비스 기획자는 이 단계에서 가장 바쁜 시기를 보내게 됨

 

3. 설계

   - 정보 구조(IA) 설계

   - 프로젝트 분석 바탕으로 서비스 프로세스 정의

 

4. 구현

   - 스토리보드 리뷰를 통해 필요한 변경사항 보완

   - 단위 테스트를 통해 기획안 및 디자인과 개발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확인

 

5. 검수/테스트

   - 구현 단계보다 더 깊은 수준의 테스트 진행

   - 전문 테스트를 통해 프로젝트의 완성도 향상

 

6. 종료

   - 각 파트에서 진행된 문서를 최신화

   - 운영 매뉴얼 작성 및 인수인계 진행

 

 

12. 프로젝트 계획

 

 

1. 업무분석

   -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를 파악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를 분석

 

2. 인력 구성

   -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인력을 구성

   - PM 또는 PMO가 각 프로젝트별로 필요한 인력과 예산을 배치하는데 중요한 역할

 

3. 환경 세팅

   - 개발 단계부터 실서버 오픈까지의 단계별 환경을 세팅

   - 시스템 설계, 스테이징 등의 단계별 절차가 필요

 

4. 프로세스 정의

   - 인력, 산출물 등 모든 업무의 프로세스를 정

   - 서비스 기획자는 이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이해와 서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메인 시안용 기획을 진행

 

5. 산출물 정의

   - 서비스 기획 결과물(공식적), 회의록, 근거자료, 히스토리(비공식적) 등을 작성

   - 산출물은 초안 작성부터 중간 고도화 작업, 검수 후 보완, 최종 공유 전 버전 업데이트까지의 과정

   - 사업수명계획서, 기술적용계획표, 작업분할체계도, 품질보증계획서, 프로그램개발가이드, 디자인 시안 등 다양한 산출물을 정의하고 작성

 

6. 일정 산정

   - 프로젝트의 최종 마감일정을 산정하고, 세부적인 일정을 계획

   - 상세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통해 업무를 분류하고 일정을 관리

   - 프로젝트는 일정이 가장 중요하므로 틈틈이 관리가 필요

 

출처: zero-base Corp.

 

7. 프로젝트 계획 근거 마련

   - 제안서와 제안 견적서: 프로젝트 제안의 근거가 됨

   - 투입인력 계획서: 세부적인 인력 배치와 일정 계획의 근거가 됨

 

8. 상세 WBS 작성

   - 상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일정표'로서 업무 분류 체계를 요약함

 

9. 메인 시안용 기획

   -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에 대한 분석이 어느 정도 완료된 사람이 메인 시안용 기획을 진행함

 

10. 제안 범위 재협의

   - 제안서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제안 범위를 재협의함

 

11. IA 초안 작성

   - Information Architecture(IA)의 초안을 작성함

 

14. 프로젝트 계획_산출물 리뷰

 

1. 예시. 실투입 인력 계획 산출

- Division: 부서(개발/디자인 등)

- 타스크(Task): 모듈명, 프로덕트

- 맨머스(man/month, m/m): 한달에 몇명인지? → 해당 프로젝트는 12개월 프로젝트로 최종 13.75 맨머스

 

2. 예시. 산출물 정의

- 본인이 책임지고 최종적인 산출물을 만들어야 한다 (초안  중간 고도화 작업  검수 후 보완  최종 공유 전 버전 업데이트)

- 사업수명계획서, 기술적용계획표, 작업분할체계도, 품질보증계획서...프로그램개발가이드, 디자인 시안...

 

3. 예시. 상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는 일정이 가장 중요하므로 틈틈이 관리 필요

 

 

15. 프로젝트 분석

 

출처: zero-base Corp.

1. 환경 분석

   - 네트워크 구조, 경쟁사, 시장 환경을 분석하여 서비스의 위치를 파악

   - 예시: '패스트캠퍼스' 프로젝트는 경쟁사(클래스 101 )와 시장 환경(온라인 강의 플랫폼 진행 현황) 분석이 필요

 

2. 요건 분석

   - RFP에 기재된 TO-BE 업무를 작성한 기획자와 실무 담당자가 의견이 상이할 경우, 이를 논의하여 방안을 고민

   - AS-IS(현재)를 분석하고, 요구사항 정의서를 바탕으로 TO-BE(미래)를 계획

   -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개발자와 함께 가능성을 확인

 

3. 콘텐츠 분석

   -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 (: 회원가입, 강의 등)를 분석

   - 현재(AS-IS)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사항을 반영한 IA를 작성

 

4. 정책 정의

   - 큰 그림에 대한 정책을 정의합니다. 이는 설계 단계에서 변경될 수 있다.

   - 예시: 회원가입시, AS-IS에서는 본인인증을 하지 않았으나 TO-BE에서는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것으로 정책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5. 가이드 정의

   - 산출물에 대한 가이드를 정의하며, 기획자, 디자이너, 퍼블리셔, 개발자 각각에게 필요한 가이드를 작성

- 서비스 기획자는 가장 큰 산출물인 [화면 설계서, 스토리보드, 화면 정의서]를 도출하며, 각 담당자들과 함께 작성

  

6. 공수 재산정

   - TO-BE 서비스로 변경될 경우, 필요한 인력 투입 및 비용 추가에 대해 사전에 논의

   - 예시: A 서비스 개발을 위해 필요한 개발 인원이 더 필요한 상황 - 개발 인원 1명 추가, 기획자 1명 축소 등

 

 

16. 프로젝트 분석_산출물 리뷰

 

1. 예시. 타사 벤츠마케팅을 위한 '커머스 사이트별 MAll 구성표'

출처: zero-base Corp.

- 프로젝트 분석-환경분석으로, '벤치마킹'의 방식으로 타사 조사

: 한눈에 보이도록 일목요연하게 분석결과 도출

 

2. 예시. 타사 벤치마킹을 위한 '헤드라인' 분석  => 분석 후, 최종 요약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 필요

 

1) LAZADA: GNB 변형구조 - 사용자 스크롤 시 GNB 변형

출처: zero-base Corp.

level 1 - app 다운로드

level 2 - 주요 제품 카테고리(햄버거 icon), 장바구니, 로그인/주문화인/도움말

level 3 - 검색창

 

2) blibli: GNB의 변형구조 - 없음(사용자 스크롤 시 GNB 간소화 없음)

출처: zero-base Corp.

level 1 - app 다운로드

level 2 - 주료 제품 카테고리 , 검색창, 장바구니

 

3) bhinneka:  GNB 변형구조 - 사용자 스크롤 시 GNB 변형

출처: zero-base Corp.

level 1 - 주요 카테고리 메뉴, 장바구니

level 2 - 검색창

 

 

l  모르는 단어

-      타스크: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의미.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여러 개의 타스크로 나누어 각각을 완료하면서 전체 목표를 이루어나간다.

-      맨먼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측정하는 단위. 프로젝트에 6맨먼스가 필요하다면 한 사람이 6개월 동안 일하거나, 6명이 한 달 동안 일하는 것을 의미.

-      AS-IS & TO-BE: '현재 상태'를 의미하며, TO-BE '미래의 원하는 상태'를 의미. AS-IS는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며, TO-BE는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 상태를 설계하는 데 사용.

728x90
반응형